2022년 대통령 선거 일정 / 대한민국 선거 역사
본문 바로가기
TV 방송 리뷰/선녀들

2022년 대통령 선거 일정 / 대한민국 선거 역사

by 365 ^^ 2021. 12. 24.
반응형

[선을 넘는 녀석들 시즌 종료] 마지막회는 선거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 있는 곳인 대한민국 역사박물관과 신문박물관에서 우리나라 선거의 역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핫한 이슈 2022년 3월 9일 (오전 6시~오후 6시) 제20대 대통령 선거일이다.  주요 선거일정은 다음과 같이 확인된다.

 

2022년 대통령 선거 일정

 

[출처 중앙선거관리 위원회 일정]

대통령 출마조건(=자격)

이번에 예비후보들이 22명정도 되는데 대통령 후보 출마자격은 선거일 기준 5년 이상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40세 이상의 국민이여야한다. 무소속의 경우 해당 시도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선거권자 3500인 이상 6천 이하의 추천을 받아야한다. 

 

▶대통령 예비후보들 알아보기

 

대한민국 선거 역사

 

우리나라 최초의 선거 5.10 총선거
대한민국 선거의 역사는 대한민국 성장의 역사이다. 5월 10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선거로 제헌국회를 구성하는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선거였다. 5.10 총선거가 이루어진 날로 그날을 기리기 위해 유권자의 날로 지정했다.   

대한민국 최초의 선거 1948년 5.10 총선거 당시 사용했던 투표함이다.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선전을 많이 했다. 당시 선거는 민주주의로 가는 첫 걸음으로써 국민들의 손으로 직접 대통령을 뽑는 선거라 선거 열기도 엄청 높았다. 1948년에 5.10 총선거 투표율은 95.5% 역대 총선거 역사상 최고였다.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적 선거를 알리는 홍보 포스터

 

선거로 뽑힌 국회의원들로 구성된 최초의 국회 이름은 제헌국회라고 불렀다. 제헌 국회 개원식에서 연설하는 당시 초대 의장 이승만의 모습이다. 

 

제헌 국회 개원식에서 연설하는 이승만 대통령 모습

 

제1대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들의 첫 번째 한 일은 국호를 정하는 일이었다..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를 정했고 헌법을 만들고 이후 제헌헌법을 공포했고 그 헌법에 근거해서 국회에서 투표해서 대통령과 부통령을 선출했다. 

 

7월1일 국호 대한민국 탄생 후 7월 17일 최초의 헌법을 제정

 

헌법 제 1조항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헌번 제 2조항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제 1공화국 이승만 대통령, 이시영 부통령

 

 

현재 기표용구 모양이 점 복자인 이유

만년 도장식 기표 용구(점 복자)를 현재 사용 중이지만 첫 선거때는 기표용구, 기표모양 모두 자유였다. 제2대 대선때 부터 처음으로 기표모양이 0 으로 통일된다.

 

초창기 기표 용구 동그라미 제각각의 동그라미 모양


그러나 이 동그라미 모양이 종이를 접었을 때 다른 부분에 인주가 묻게되면 무엇이 진짜인지 구분이 어려워 동그라미 안에 사람 인(ㅅ) 모양을 사용하다가 현재는 동그라미 안에 점 복(ㅏ) 모양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 사용중인 점 복 모양의 기표용구 사용은 무효표를 최소화함으로써 유권자의 의사를 최대한 존중하기 위한 것이다.

일본은 후보자들의 이름을 모두 적어야 한다. 일본의 정권이 바뀌지 않는 이유가 있다. 

 

 

일본 선거 투표 문제점 알아보기

일본 선거 방식 일본은 2021년 10월 31일에 중의원 선거를 실시했다. 일본은 여당 자유민주당(자민당) 이 62년간 집권하고 있다. 그래서 일본인들은 자민당식 정치에 익숙해졌다. 한국의 당 대표는

jangane.tistory.com

 

제 2대 대통령 선거
제 1대 대통령은 국회에 의해 간접 선출되었지만 제 2대 대통령 선거의 가장 큰 특징은 대한민국 최초의 대통령 직선제가 시행되었다. 6.25 전쟁 중 1952년 8월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는 국민이 직접 대통령을 뽑은 선거였다. 

직선제 선거가 이루어진 이유는 이승만 대통령이 연임을 하고 싶은데 국회의원들 중에 반대파가 많아 이승만은 개헌을 해서 대통령 직선제를 도입하려했다. 그러나 개헌을 찬성할리 없던 국회의원들이기에 당시 부산이 임시 수도였던 시기에 부산에 계엄령을 선포한 후 국회를 군을 동원해 포위한다. 또한 출근하는 국회의원이 타고 있는 출근버스를 크레인으로 끌고가서 투표를 했다. 

 

이 당시 비밀투표가 아닌 손을 들고 투표하는 기립 투표로 개헌 여부를 결정했다. 반대표를 외치기 어려운 상황이었고 이때 반대표 0 기권만 3명으로 개헌 찬성을 했다.  


3대 대통령 선거 
이승만은 다시 대통령이 되기 위해 한번 더 개헌을 단행한다.

 

개헌 내용

개헌 조건은 의원 203명 중 2/3 이상(136명이 동의)의 찬성해야 개헌이 가능한 상황이었는데 135석이 나와 부결이 되야 하는데 사사오입으로 의결 정족수의 기준을 135명으로 바꾼후 개헌을 통과시킨다. 사사오입 개헌으로 이승만은 다시 제3대 대통령에 출마한다.   

 

사사오입 개헌 이승만 정권 (1~3대 대통령 선거과정)

 

사사오입 개헌 이승만 정권 (1~3대 대통령 선거과정)

이승만은 광복 이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통령직을 지내고 7월 17일 헌법 제정-> 8월 15일 정부 수립 과정으로 거쳐 광복 후간선제(국회의원들이 선출)를 통해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 된다.

jangane.tistory.com


제4대 대통령, 제 5대 부통령 선거
1960년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나이는 80세가 넘은 나이였다.  집권당의 가장 큰 고민은 이승만 대통령이 세상을 떠나더라도 부통령이 승계시 집권당 이기붕을 부통령에 앉혀야 한다는 것이 과제가 되었다. 이로 인해 역사상 최악의 부정선거가 일어난다. 

 

당시 대통령과 부통령 모두 시민들이 뽑았다

 

3.15 부정선거 배경과 과정/ 2.28 학생 의거/ 이승만 우상화 작업

 

3.15 부정선거 배경과 과정/ 2.28 학생 의거/ 이승만 우상화 작업

4대 대통령 선거 과정 1,2,3 대 이승만 정권이 계속되었고 1960년 3월 15일 있었던 4대 대통령 선거는 그 유명한 3.15 부정 선거가 있었던 선거이다. 3대 선거 진행 방향과 비슷하게 선거 한 달 전 야당

jangane.tistory.com

 

선거 전에 이미 지방에서 부정선거가 있었기 때문에 곳곳에서 부정선거에 대 항의하는 학생시위가 있던 상황이었다.  3.15 부정선거 당일 마산 3.15 의거가 있었고 그때 김주열 열사가 사망하면서 이에 분노한 대규모 학생과 시민이 거리고 나와 시위하는 4.19 혁명으로 국민들의 격한 시위는 통제가 힘들어졌고 경찰은 진압을 위해 발포까지 했지만 4.19의거 발생 일주일 후 이승만 대통령은 하야 선언을 한다. 

 

4.19 혁명 배경과 전개 과정 속 김주열 열사의 죽음

 

4.19 혁명 배경과 전개 과정 속 김주열 열사의 죽음

4.19 전개 간략 정리 ① 3.15 부정 선거 ② 3.15 의거 ③ 김주열 의사 죽음 ④ 4.18일 고려대생 피습 사건 ⑤ 4.19 혁명 ⑥ 계엄령 선포 ⑦ 4.25 교수단 시위 ⑧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 4.19 혁명 배경이 된 3

jangane.tistory.com

 

이승만 정권 하야이후 군사 독재 정권이 들어서면서 5,6,7,8,9대 까지 박정희 정권이 수립되었고 11,12 대 대통령 전두환, 13대 노태우까지 군사정권이 이어진다. 직접선거는 노태우때 부터 다시 이루어졌으나 진정한 문민정부시대는 제14대 김영삼 대통령부터였다. 현재 19대 문재인 대통령 시대에서 20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역대 대통령 선거일과 당선인

역대 대통령 선거일과 당선인 및 선출방법 리스트 /출처 중앙선거관리 위원회

제1공화국~5공화국 흐름 간략 정리

 

제1공화국~5공화국 흐름 간략 정리

* 공화국 변경 기준은 헌법이 개정될 때를 기준으로 바꾼다. 제1공화국 (1948년 8월 15일부터 1960년 4 · 19 혁명으로 붕괴되기 전까지의 시기) 광복 이후 간선제로 이승만이 대통령이 되면서 제1 공

jangane.tistory.com

제 5공화국~ 6공화국 (전두환 / 노태우 정부 )

 

제 5공화국~ 6공화국 (전두환 / 노태우 정부 )

전두환은 어떻게 대통령이 되었나?  전두환과 신군부 세력은 권력 장악 도구로 삼청교육대등을 만들었고 K-공작이라 불리는 여러 공작을 통해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책임을 최규하 전 대통령

jangan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