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차 대전 (1914년~1918년: 총 4년)
1914년 7월 28일 세계 제1차 대전이 일어난다. 직, 간접적으로 1차 세계 대전에 참여한 인구만 약 15억 명이고 전사자(사망자) 약 천만명, 부상자 약 2,200만 명으로 1차 세계 대전은 일류 최초의 대량 살상 전쟁이었다. 1900년 당시는 제국주의 국가들의 식민지 쟁탈전이 한창이었다. 그러나 전쟁의 시작은 단 두발의 총성에서 시작된다.
↓(벌거벗은 세계사 버전)
☞1차 대전 이전 독일의 상황과 연합국과 동맹국 형성과정 보기
1차 세계대전의 원인
1914년 6월 28일 육군 열병식에 참석하기 위해 발칸반도(유럽의 화약고라 불림)에 위치한 보스니아의 수도 사라예보에 방문한 오스트리아 황태자 부부는 세르비아 러시아계 한 청년이 쏜 총에 암살당하는 사건이 벌어진다. 암살자는 세르비아계 청년 프린치프로 당시 19세였다.
당시 세르비아는 발칸반도에 흩어져있는 세르비아 민족들을 모아 더 큰 나라를 세우려했지만 오스트리아가 이를 막았다. 이 사건으로 오스트리아와 세르비아 편을 드는 나라들 각각 두 진영으로 나눠졌다.
경제적 배경
19세기 이전은 식민지는 자원 약탈의 대상이었으나 19세기 이후 (자원 판매) 시장으로 바뀐다. 이때 독일은 1871년 1월 뒤늦은 통일로 열강보다 한발 늦게 산업화가 진행되며 시장에 뛰어들었더니 이미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스페인이 식민지를 독차지하고 있었던 상태였다. 이에 독일 제상 비스마르크는 화학과 과학 기술에 집중을 하게 되고 어느 열강보다 무서운 속도의 성장한다.
독일은 식민지와 자원에 대한 열망도 강했다. 독일은 우크라이나를 원했고 독일 통일 국가의 발전을 위해 전쟁을 일으킬 계기가 필요했다. 당시 러시아와 프랑스는 세계 최강의 육군 국가였고 영국은 세계 최강의 해군을 보유한 국가를 이기려면 자원이 필요했다.
삼국 협상, 삼국동맹
이 당시 러시아, 프랑스,영국은 삼국 협상을 통해 편을 이루고 있었고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는 삼국동맹(1882)을 통해 서로 간의 군사원조를 한다는 안전보장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오스트리아는 사라예보 사건으로 구실로 오스트리아는 세르비아에 전쟁을 선포(1914.7.28)한다. 이것이 제 1차 세계대전의 시작이다. 그 후 독일은 러시아에 선전포고(1914.8.1), 이틀 뒤에는 프랑스에 선전포고(1914.8.3)를 한다. 독일 군이 중립국 벨기에를 통과하자 영국은 독일에 선전포고(1914.8.4)하며 이 전쟁은 점차 민족 간의 싸움으로 번지더니 결국 거대한 두 세력 독일계인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그리고 오스만 제국 등의 동맹국과 다른 세력은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이 뭉친 연합국 전쟁으로 확대된다.
- 오스트리아는 세르비아에 전쟁을 선포(1914.7.28)
- 독일은 러시아에 선전포고(1914.8.1)
- 독일이 프랑스에 선전포고(1914.8.3)
- 영국은 독일에 선전포고(1914.8.4)
♣선전포고문 ( 1차 세계대전 ) 이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이유
독일의 지정학적 위치는 서부전선에는 프랑스, 동부전선에는 러시아가 있어 양면 전쟁을 해야했다. 이에 최소의 전력으로 러시아 전선을 막고 모든 병력을 서부전선에 올인하는 것이었다.
동부전선 타넨베르크 전투 (독:러 1914.8.26)
1914년 11월 오스만 제국 참전
1915년 이탈리아 불가리아 참전
1916년 루마니아 참전
서부 전선 가장 참혹한 베르됭 전투(독:프 1916.2-1916.12)
프랑스군의 전략적, 상징적 요충지였던 베르됭을 독일은 전투 첫 날 약 100만 발의 포탄을 퍼붓는다. 그렇게 10달 동안 양측에서 쏟아부은 포탄만 총 4000여 만 발이었다. 엄청난 포탄에 베르됭은 황무지로 변했고 지옥의 요새전이었다. 이곳에서 살아남은 병사들의 증언은 이곳이 뼈가 으스러지는 곳 살아남은 자보다 죽은 자가 더 많은 곳이라고 불렀다. 전투는 프랑스의 승리로 끝났지만 승패를 떠나 참혹한 학살극으로 남은 전투였다.
베르됭 전투의 사상자는 프랑스군 약 37만7천명, 독일군 약 35만 7천 명으로 약 73만 명의 전사자가 발생했다.
서부전선의 최악의 전투 파스샹달 전투 (독:영,프1917.7~1917.11)
벨기에 파스샹달 지방에서 일어난 파스샹달 전투에서는 30만 명에 달하는 병사들의 시체가 산을 이루었는데 인류 최초의 대량 살상 전으로 진행되는 전쟁이었고 이 참호전의 실상은 실로 지옥처럼 끔찍했다.
기관총이 낳은 대량살상의 비극
산업 혁명을 거치면서 진보된 인류의 기술은 1차 세계 대전 때 사람을 죽이는 무기로 바뀌고 물량전이 진행되면서 기관총으로 1개 중대를 없애는데 단 15분이 걸렸고 폭격을 피하기 위해 참호를 대량으로 만들었으며 포탄과 기관총을 피해 4개월 동안 나아간 거리는 고작 8km였다.
악마의 3형제 참호, 철조망, 기관총
1차 세계 대전 때 파놓은 참호를 한 줄로 재면 약 4만 km로 무려 지구 한 바퀴의 길이로 1차 세계대전은 끔찍하고 무의미한 대량 학살의 진흙탕 속 참호전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기관총으로 대량 학살이 계속되니 참호를 만들었고 참호를 깊게 파면 팔수록 기관총을 피할 확률이 높아졌다. 그래서 적의 참호를 빼앗기 위해서는 대규모 병력을 투입시킬 수밖에 없었고 이를 막기 위해 기본이 3겹~10겹까지 철조망을 설치했다.(성능이 부실한 지뢰를 대신해)
중립국이던 미국이 참전한 이유
1915년 5월 7일 영국의 대서양 정기선 '루시타니아 호'는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으로 독일군이 쏜 어뢰에 격침당한다. 루시타니아 호가 침몰하게 되고 미국인 승선객 128명이 사망하면서 미국 내 참전 여론이 달아오르기 시작한다.
당시 독일은 영국 해군에 막혀 군수물자를 제대로 조달하지 못하게 되자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펼쳐 닥치는 대로 연합군, 민간인 배 할 것 없이 보이는 데로 폭격을 했던 것이다.
그러나 결정적 계기가 된 것은 치머만 전보( 1917.1) 사건 때문이었다. 독일의 외무 장관 치머만이 멕시코 주재 독일대사에게 보낸 비밀 전보문을 보냈고 이를 영국군이 감청해 해독한 내용은 독일의 제안으로 멕시코가 미국을 공격해 전쟁을 일으키도록 할 것. 그 대가로 미국 땅의 일부를 주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기 때문이다.
미국 참전과 러시아의 종전 선언
1917년 4월 2일 중립을 지키고 있던 미국이 연합국으로 참전을 선언하게 된다. 막강한 물량의 미국 참전은 1차 세계대전의 판도가 바뀌게 된다. 1917년 10월에 러시아는 볼셰비키 혁명(=러시아혁명)이 일어난다. 전쟁에서 수많은 젊은이가 죽고 다치고 경제 위기가 심해졌으며 국민의 생활 고가 극심해지자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게 되고 이때 러시아의 급진 좌파 레닌이 등장하며 러시아 정권을 잡은 레닌은 독일과 단독 휴전협정을 체결하며 종전을 선언한다.
이렇게 동부 전선이 마무리 되면서 독일은 모든 병력을 서부 전선으로 집중하게 된다. 그러나 이 서부 전선으로 미군부대가 도착할 예정였기 때문에 시간을 끄는 것은 독일에게 불리해지니 독일은 총공세를 계획한다. 1918년 3월 21일 독일은 독가스 공격, 참호 공격를 하면서 승기를 잡게 되지만 약 4만 명의 병력 손실, 이중 약 1만명이 사망하게 된다.
100일의 전투
7월부터 100일간의 연합군의 반격이 시작된다. 연합군은 엄청난 양의 군수물자를 얻게 되면서 독일을 몰아갔고 1918년 9월 독일 편이던 불가리아 항복 선언, 10월 오스만 제국 항복, 11월 오스트리아가 항복 선언을 한다. 8월 8일 본격적으로 시작된 전투에는 약 400 대가 넘는 탱크가 투입이 되었고 9월 26일 미군은 연합군과 함께 제 일1차 세계 대전을 끝내기 위한 마지막 공격을 시작 한다 .
연합군은 엄청난 양의 군수물자를 얻게 되면서 독일을 몰아갔고 약 1500대의 비행기가 투입되었고 이 비행기가 독일의 참호를 공격했고 퇴각하는 독일군에게 폭탄을 쏟아 부었으면 48시간 만에 독일군의 방어선이 돌파하기 시작한다. 1918년 9월 독일 편이던 불가리아 항복 선언, 10월 오스만 제국 항복, 11월 오스트리아가 항복 선언을 한다.
독일의 항복
방어선이 뚤린 독일은 1918년 11월 초 결국 정전 협정을 요청한다. 포탄과 식량의 물량 조달에 허덕이던 독일은 오랜 전쟁으로 궁핍해져 갔고 독일 해군의 항명 사태와 독일의 시민혁명(1918년 11월)으로 전쟁에 지친 독일의 군인과 국민들은 황제 빌헬름 2세의 퇴위를 요구하며 독일은 붕괴었고 새 정부는 종전협정에 서명하며 마침내 제1차 세계대전은 막을 내린다.
연합국 프랑스 대표와 독일이 맺은 콩피에뉴 휴전 협정 (1918년 11월 11일 )
콩피에뉴 숲에 사람들의 눈을 피해 열차에서 은밀하게 협정을 제안한다. 1918년 11월 11일 오전 11시에 제 1차 세계 대전은 종전된다.
이후 패전국 독일에 책임을 묻는 베르사유조약이 체결되고 독일 영토 일부 및 식민지 포기(영토의 13% 상실), 군사력 제한(10만명으로), 엄청난 전쟁 배상금(1320억 마르크)까지 치러야 했다. 이 조약은 독일에게 가혹했고 이에 불만을 품으며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키는 계기가 된다. 프랑스는 보불전쟁의 치욕을 갚기 위해 조약 체결 서명을 베르사유 궁전 거울의 방에서 진행했다. 보불전쟁 당시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1871.1.18) 독일은 종전 선언을 베르사유 궁전 거울의 방에서 선포했고 독일 황제 빌헬름 1세의 대관식까지 이곳에서 열면서 프랑스인들에게 치욕을 안겼기 때문이다.
제 1차 세계대전 결과
유럽의 지도 변화
전쟁 이후 화폐 가치는 폭락하고 물가는 폭등 하게 되면서 제국들이 몰락 한다. 독일,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러시아제국이 사라지게되고 신생국가들이 탄생하게 된다. 신생국가의 탄생으로 인해 유럽 지도에 변화가 생긴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이전의 유럽 지도와 이후의 지도는 많이 달라기게 된다. 또한 유럽의 경제 지배권 상실로 세계 경제의 주도권을 잡게 된 미국이었다.
여성의 참정권 인정
1차 세계대전 이후 달라진 점은 여성의 사회 진출이 가속화 된다. 프랑스에서는 여성들이 전쟁 참여로 인한 남성인력의 부재로 포탄 공장에서 일을 하게 되었고 미국에서는 15,000 명이 넘는 여성들이 야전 병원에서 일을 했다. 이렇게 다양한 곳으로 사회 진출을 하게 된 여성의 공로가 인정되어 그 결과로 인해 1920년에 미국, 1928년에 영국에서 드디어 여성 참정권이 인정이 되었다. 참정권 인정의 여러요인 중에 1차 세계대전 중 여성들의 공로가 인정된 것이다.
20세기 초까지 유럽인들은 인간의 이성과 합리성으로 인류는 발달한다고 생각했었으나 이런 믿음이 완벽하게 깨진 것이 바로 제 1차 세계 대전이다. 절대성이 아닌 상대성, 확정성이 아닌 불확정성으로 인간의 사고방식에 변화가 일어났다.
의학기술의 발달
또한 종전 후에는 이른바 병사를 치료하기 위해 의학 기술이 엄청나게 발달하게 된다. 특히 성형수술 분야, 심리학 발달도 이루어 진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