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방송 리뷰/역사저널 그날' 카테고리의 글 목록 (24 Page)
본문 바로가기

TV 방송 리뷰/역사저널 그날117

개로왕-성왕 이야기 (백제왕들은 어쩌다 전투에서 죽음을 당했나? ) [315회] 한강을 지배한 자 한반도를 지배한다. 475년부터 규칙을 깨기 시작한 고구려, 백제, 신라는 이전에는 왕을 포로로 잡더라도 정치적 협상을 위해 풀어주거나 했으나 이때부터 한강 유역에서 약 80년간 반복된 삼국의 복수 혈전이 시작된다. 삼국시대 전장에서 전사한 왕은 4명이 있는데 (책계왕(백제), 고국원왕(고구려), 개로왕(백제), 성왕(백제) ) 이중에 백제왕만 3명이나 죽었다. 고구려 고국원왕이 전사(371년) ->광개토대왕 복수 고구려 건국한 주몽(동명성왕)의 아들 온조가 세운 나라 백제인데 371년 근초고왕이 3만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 평양성을 공격한다. 이 과정에서 고국원왕이 전사한다. 고구려에서 왕이 전사한 사례는 고국원왕이 유일하다. 그래서 복수를 하기 위해 나선 고국원왕의 손자 .. 2021. 9. 10.
양녕대군 폐위 과정 (양녕대군이 세종을 위해 양보했다?) [154회] 적장자 양녕대군 태종의 맏아들로 14년간 세자의 자리를 지키면서 조선왕조 최초의 적장자 계승이라는 완벽한 조건을 갖추었던 양녕대군은 폐위되고 셋째 아들 충녕대군(세종)이 왕위에 오른다. 그렇다면 양녕대군은 어떻게 폐위가 되었을까? 태종이 충녕대군을 세자로 책봉하지 않았던 이유 양녕대군은 태종과 원경왕후의 장남으로 태어나 큰 문제가 없으면 왕의 후계자 자리가 보장되었던 위치였다. 태종이 충녕대군을 세자로 책봉하지 않았던 이유는 조선의 첫 번째 왕 태조 이성계가 승계의 원칙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제1차 왕자의 난으로 형제를 죽이고 권력을 잡았던 태종은 혈육까지 죽였던 왕자의 난을 '적장자 승계 원칙'이라는 정치적 명분으로 합리화시켰기 때문에 이 문제를 반드시 지켜야 했던 태종이었다. 적장.. 2021. 9. 5.
세종 ! 단종 죽음에 책임이 있다? 세종의 어린시절 및 즉위식.세종의 어린시절   세종의 아버지는 태종 이방원으로 세종은 태종의 셋째아이들 충녕대군이다. 첫째는 양녕대군으로 양녕대군 또한 똑똑했으나 하필 동생이 충녕대군(세종)이 다myvoice.wissue.net 세종은 일찍이 문종(맏아들)- 손자(단종)를 왕세자-왕세손으로 지정해 놨었다. 그러나 문종이 일찍 승하하며 홀로 남게 된 단종은 자신의 삼촌이자 세종대왕의 둘째 아들 수양대군(세조)에게 계유정난으로 왕위를 빼앗긴 후 죽임을 당한다.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모두 죽고 단종의 옆에는 오로지 삼촌들 이외에는 단종의 정치적 후견인이 아무도 없었다. 그렇다면 세종은 수양대군의 야심을 몰랐을까? 역사적으로 고려 때 조카를 몰아내고 왕이 된 공민왕부터 삼촌이 조카를 몰아내고 왕.. 2021. 9. 3.
문종 이야기 (세종대왕 맏아들, 조선 최초의 적장자 왕) [20회] 문종은 누구인가? 세종대왕의 맏아들이었던 문종은 기록도 별로 없고 드라마 속 문종(조선 5대왕)은 항상 병약한 왕으로 나오지만 세종은 적장자 문종(세종 6년), 문종의 아들 단종(조선6대왕)을 일찌감치 세종 30년에 왕세손을 책봉을 한다. 왕세자-왕세손으로 왕위 계승되게 한 사례는 조선건국 이후로 최초이며 문종의 정통성은 조선의 역사상 처음으로 적장자로 왕위에 오른 왕이고 왕세자 수업만 약 29년을 했던 준비된 왕이었고 조선의 적장자 왕위계승 원칙이 5대 만에 실현된 조선 왕실의 상징적인 왕이었다. 문종의 왕비 현덕왕후의 죽음 문종은 재위 기간 중 유일하게 왕비가 없었던 왕이다. 왕으로 재임시절에 왕비가 없었다. 1441년 7월 23일 (음력) 세종과 당시 세자 문종을 기쁘게 한 단종이 탄생한.. 2021. 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