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거벗은 세계사 115-1
힌두교 탄생 과정
힌두교의 역사는 15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지금의 인도 위치를 인도 아대륙이라 부르는데 소를 유목하던 아리야인이라는 사람들이 인도 아대륙으로 들어온다. 이들은 약 천년에 걸쳐 갠지스강 유역에 정착한다. 정착한 아리야인들은 농경 사회를 이루기 시작하며 이때부터 농사에 중요한 강인 갠지스강을 어머니 강으로 섬기게 된다.
그리고 이때 토착민과 아리야인의 문화가 합쳐지면서 서서히 힌두교가 만들어지게 된다. 인도 신화를 기반으로 한 다신교로 인도의 민족 종교로 인도 인구 약 80%, 11억 명 정도의 신도를 거느리게 된 종교가 된다. '힌두'라는 말이 인도라는 말이라 힌두교를 인도의 종교 그 차제로 보기도 한다.
인도 3대 신들
현재 힌두교는 종교를 넘어 인도의 문화, 도덕, 관습 등 인도의 모든 곳에 스며 있는 통합된 하나의 세계관이다. 인도에서 힌두교는 일상 그 자체이다. 서아시아에서 만든 종교는 유일신을 믿는 종교들과 달리 힌두교의 큰 특징은 많은 신을 받아들이는 다신교이다. 바람, 물 등의 자연은 물론 풍요의 신처럼 추상적인 개념까지 신으로 숭배한다. 그래서 신들 사이에 서열이 생기게 된다.
이 중에 인기가 가장 많은 신은 쉬바신으로 파괴의 신이자 우주의 제왕 그리고 요가의 신이다. 이렇게 많은 신들을 가지고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만들기 시작한다. 그것이 바로 카스트 제도이다.
카스트 제도 탄생
기원전 8세기경부터 철제 농기구가 들어오면서 농사가 발달하고 생산물이 늘어나자 전쟁이 생기고 그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사회가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단이 필요했다. 그래서 사회를 유지할 계급 시스템으로 카스트 제도가 탄생한 것이다. 브라만은 제사와 교육을 담당하던 사람들이였고 전쟁을 수행하던 왕과 무사들은 끄샤뜨리야라 불렸고 농업과 상업에 종사하는 바이샤, 각종 육체노동을 하는 슈드라가 있었다 .처음에는 계급의 상하 구분 없이 직업에 따라 분류되어었다.
그러나 카스트 제도가 만들어지고 100년정도가 흐른 뒤 16개의 나라가 생기고 이들이 더 많은 땅을 차지하기 위한 전쟁이 끊이지 않았고 이 4개의 카스트 중에 한개의 카스트가 권력을 잡게 된다. 브라만 계급으로 전쟁이 많던 시기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사람들이다. 그 신들의 도움으로 전쟁에 이기게 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래서 브라만이 권력을 독점하게 된다. 나중에 권력을 차지한 사제 브라만이 사제가 되려는 다른 사람을 막게 된다. 이때 제사를 통해 신에게 많이 바친 동물이 바로 소였다.
브라만은 신에게 소를 바치는 제사를 독점하면서 강력한 권력을 손에 쥐게 되고 자신들의 특권을 강화하기 위해 카스트 제도를 굳건히 만들었다. 권력을 잡은 브라만은 전쟁을 치르는 끄샤뜨리야와 손을 잡고 바이샤가 만든 생산물을 가져가고 노역을 하는 슈드라를 노예로 부리기 시작한 것이다. 2500여 년전 구축된 계급 시스템인 것이다.
카스트 제도 정착과정
그렇다면 불평등한 카스트 제도는 인도 사회에 순조롭게 정착되었을까?
순조로운 정착을 위해 브라만은 각 계급을 확실하게 차별할수 있도록 카스트 제도의 토대를 정교하게 만든다. 그것이 계급 차별의 기준이 되는 깨끗함과 더러움이다. 깨끗함은 성스러운 생명을 더러움은 죽음이나 오염된 것을 나타낸다. 그래서 브라만은 깨끗한 계급이고 슈드라는 죽음과 같은 더러운 계급이라는 인식을 계속적으로 심었다.
갠지스강이 성스러운 이유
힌두교에서 가장 깨끗한 개념 , 성스러운 개념은 갠지스강이다. 많은 힌두교인들이 죽음을 맞이했을 뿌려지길 원하는 곳이 갠지스강이고 하루에 두번 찾아오는 성스러운 시간 힌두교 의식 아르띠 뿌짜는 쉬바신과 갠지스강 여신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해 바치는 제사 의식을 일출과 일몰 시간에 맞춰 하루 두번 치러진다. 꽃등 '디아' 에 소원을 담아 강에 띄우며 의식을 마무리한다. 즉 갠지스강은 일상생활부터 장례, 제사까지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곳이다.
농사의 근간이 되어준 갠지스강을 신처럼 성스럽게 여긴다. 그래서 이들은 갠지스강에서 몸을 씻으면 모든 더러운 것을 정화한다는 믿음 때문에 시체를 태운 유골을 갠지스강에 뿌리면 죄를 씻은 영혼이 좋은 세상으로 윤회할수 있다고 믿는다. 그래서 사실 갠지스강은 현재 오염도 최고의 강물이 되었다. 갠지스강 물을 마신 후 배탈이 나기도 하고 특히 갠지스강의 공에서 유출될 산업폐수가 고스란히 갠지스강으로 유입되어 산업폐수와 쓰레기 때문에 가장 오염된 강 중 하나로 꼽힌다.
인도에 채식주의자가 많은 이유
사람의 몸에서 배출된 모든 것이다. 몸에서 배출되는 머리카락, 침, 배설물등을 말하며 그 부정한 것들 중 가장 강력한 것이 시체인 것이다. 그래서 카스트 제도에서 청소를 하거나 화장터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가장 낮은 계급들이다.
그리고 고기도 죽은 동물의 시체기 때문에 계급이 높은 브라만들은 먹지 않는다. 인도에 채식주의자가 많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종교적으로 오염된 것은 최대한 피해야 하기 때문에 매일 아침 배변하는 것도 의식을 치르는 것처럼 한다. 오염된 것을 보기만 해도 부정 탄다고 생각해서 닿지 말아야 하고 보지도 말아야 한다.
이렇게 브라만 계급은 깨끗함과 더러움의 개념을 통해 자신들의 신성함을 더욱 강화할수 있었다. 계급이 낮을수록 오염된 존재로 각인시켰고 브라만을 가장 깨끗한 존재로 만들어 버린 것이다. 그래서 태어날 때부터 깨끗한 계급과 더러운 계급이 나뉘게 된다 .
[다음글 115-2] 인도 불교의 탄생 배경과 부처의 두 가지 가르침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