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방송 리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16 Page)
본문 바로가기

TV 방송 리뷰909

예송논쟁(현종)/ 숙종 가계도 (익릉,명릉,장희빈 무덤 대빈묘)(32)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32회] 오늘의 탐사지: 명릉 주제: 숙종의 여인들 [인조-효종-현종-숙종] 효종인조 다음 왕인 효종(효심이 깊은 왕)은 갑자기 돌아가신다. 당뇨병의 후유증인 얼굴의 종기를 치료하다 과다 출혈로 사망한다. 현종(=효종의 아들) 예송 논쟁 다음 왕은 효종의 아들 현종은 붕당 정치에 휘둘려서 나약했던 왕이다. 효종의 아버지 인조의 계비 자의대비 조씨는 인조의 아들 효종이 죽었으니 인조의 두번째 부인 자의대비 역시 상복을 입어야 하는데 인조의 둘째 아들인 효종이 죽었는데 '자의대비가 상복을 몇 년 입을 것이냐' 를 놓고 논쟁이 벌어진다. 서인 왈 효종은 장자가 아니니 성리학 예법에 따라 1년만 입으면 된다. 남인 왈 (비집권 야당) 왕위 계승자이니 장자는 장례를 3년 장자 대우를 해.. 2020. 8. 13.
덕종과 소혜왕후(=인수대비)의 아들 성종은 어떻게 왕위에 올랐나?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32회] 오늘의 탐사지: 서오릉 - 경릉 -명릉 주제: 서오릉 속 경릉 관련 이야기 서오릉 서오릉: 경릉, 익릉, 명릉, 홍릉, 창릉 경릉 (추존 덕종과 소혜왕후의 능 1437~1504) 죽어서 왕이 된 덕종 그 이유는? 조카 단종을 몰아내고 왕이 된 세조가 덕종의 아버지이다. 세조의 맏아들이었던 의경세자가 덕종으로 추존됐다. 세조의 맏아들,의경 세자는 19세에 단명한다. 세조는 하루 아침에 적장자를 잃고 깊은 슬픔에 잠기게 되고 그리고 한 달 뒤 영월에 유배된 노산군(단종)에게 사약을 내린다. 세조의 맏아들 의경세자는 죽은 후 덕종으로 추존 된다. 세조가 만든 서오릉 서오릉을 만든 왕이 세조이다. 세조가 늙고 병들어 한 없이 쇠약해지니 종교에 의지하게 되고 불교에 심취해서 원.. 2020. 8. 11.
전곡리,아슐리안형 주먹도끼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50회] 오늘의 탐사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주제: 교과서 속 유물들 국립중앙박물관 뗀석기 가공하지 않은 구석기를 대표하는 도구 인류가 목적을 가지고 만든 최초의 도구가 뗀석기다. 유홍준의 에 따르면 '뗀석기에는 행위의 목적과 의식이 담겨있다" 고 했다. 주먹도끼 지금으로부터 200만년 전에 우리 조상이 있었고 그들은 이 지구상에 별 볼일 없는 종들 중 하나에 불과 했다. 맹수의 이빨이나 발톱은커녕 최소한의 방어수단도 없었던 인류(원숭이)였는데 그들이 신의 전유물이었던 바람과 불과 물과 전기까지 자연의 요소를 다루는 지구상의 유일한 종으로써 지구의 주인처럼 살아 가고 있다. 그것의 시작이 주먹도끼이다.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흔적이 있는 주먹 도끼는 도끼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2020. 8. 10.
인조반정->이괄의 난->정묘호란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30회 후반] 오늘의 탐사지: 창의문-남한산성 주제: 인조반정, 정묘호란 출연자: 김강훈 인조반정이 일어난 이유 인조반정의 시작은 광해군의 아버지 선조에서 시작된다고 볼수 있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선조가 질투하던 이순신도 죽고 류성룡은 파직 시켰는데 아직 한 사람이 남아았었다. 그는 바로 전쟁 때 의병을 이끌고 큰 공을 세운 사람 아들 광해군이었다. 선조는 조선 최초 방계 출신 임금이었다. 조선시대는 적장자(=정실부인의 첫째 아들을 의미)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것이 관례였기에 선조에게 자신의 방계 출신 신분은 콤플렉스였다. 그래서 선조는 다음 왕위는 무조건 적장자에게 주려고 했으나 중전이 아이가 없었다. 후궁 공빈 김씨만 두 아들을 출산해 첫째가 임해군 둘째가 광해군이었다. 후궁.. 2020.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