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방송 리뷰909 티니안섬 (일본 1억총옥쇄작전) 자살절벽 전쟁역사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45회] 오늘의 탐사지: 사이판 티니안 섬(일본군 연료저장소-일본해군 항공사령부-자살절벽) 주제: 티니안 섬의 전쟁사 티니안 섬 섬의 면적은 약 101㎢로 강원도 속초시(102㎢)와 비슷한 정도이다. 대중교통이 없고 소가 사람 수의 4배가 있는 곳으로 곳곳에 방목된 소가 약 12000마리다. 티니안 징용을 왔던 한인 중 전쟁이 끝나고 정착한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티니안 주민의 40%가 한국계 혼혈 혈통이다. 티니안 섬의 간략 역사 태평양 전쟁 당시 티니안 섬은 일본군에게 중요한 군사기지였다. 1930년대 후반 일본은 비행장, 해군 항공 사령부 통신 본부 등 군사 시설을 설치하고 대략 8500여 명의 일본군이 이곳에 주둔했다. 1942년 미드웨이 해전에서 대패한 일본군은 사이판.. 2020. 8. 5. 친일파 배정자, 설탕왕 마쓰에 하루지의 남양흥발주식회사 (44)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44회] 오늘의 탐사지: 사이판 (슈가킹 공원 -찰란카누아(=찰란카노아) 해변-비치로드)주제: 사이판 한인 노동자의 눈물 출연자: 설민석 슈가킹 공원한국인 보다 일본인이 많이 찾는 슈가킹 공원사이판 한복판에 자리 잡고 있는 일본 신사 일본의 침략 전쟁 당시 일본의 민낯 내부적이 모습과 산업 전반적인 상황과 나라를 잃은 우리나라 노동자들이 어떤 일을 당했는지 알아본다. 설탕은 일본에게 에너지원이자 중요한 군수 물자였다. 1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1914년 사이판을 지배하게 된 일본은 이곳에서 처음 시작한 사탕수수 사업이 성공적이었다. 남양군도를 장기 통치하기 위해 주목한 것이 바로 제당업이었다. 설탕왕 마쓰에 하루지 1934년에 세워진 설탕왕의 동상으로 살아 있는 사람의 동상을.. 2020. 8. 4. 태형,장형,도형,유형,사형:교형,참수등 조선의 형벌제도와 조선감옥 전옥서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49회]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49회] 목구멍이 포도청이다. 의 뜻은? 먹고 사는 것이 너무 힘들어 포도청에 갈만한 중죄도 서슴지 않고 저지른다.에서 나온 말이다. 무서운 포도청에 가야 하는 것을 알면서도 죄를 지으면서도 먹고 살기 위해 할 수 밖에 힘든 현실 상황을 말한다. *포도청=오늘날의 경찰서 조선 시대 형벌 제도 조선의 형벌 제도는 중국의 대명률을 따라 크게 5가지 태.장.도.유.사로 나뉘고 각각 세분화된 등급이 있다. 첫 번재 태형 죄수를 형대에 묶고 엉덩이를 노출 시킨 후 회초리로 죄인의 엉덩이를 10~50대까지 때리는 형벌 죄수를 형대에 묶고 엉덩이를 노출 시킨 후 회초리로 죄인의 엉덩이를 10~50대까지 때리는 형벌 두번째 장형 60~100대 드라마에 자주 보는 태형과 비슷하지만 몽둥이 사이.. 2020. 8. 4. 2차 세계대전 태평양 전쟁 원인 ~미드웨이 해전, 사이판 전투 까지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43, 44회] 오늘의 탐사지: 사이판 주제: 태평양 전쟁의 격전지 사이판 2차 세계대전 당시 유럽 지역뿐만 아니라 태평양 지역에서도 격렬한 전투가 벌어지고 있었다. 일본과 연합군을 중심을 벌어진 태평양 전쟁에서 사이판은 왜 격전지가 되었는지에 대한 태평양 전쟁의 원인과 경과, 흐름에 대해 배우고 태평양 전쟁 당시 사이판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아본다. 사이판의 면적은 약 115㎢ 울릉도보다 1.6배 크고 제주도의 6% 크기 정도 크기의 섬이다. 평균 기온 27도로 항상 여름 날씨를 유지하며 연중 기온 차가 가장 적은 장소로 기네스북 세계기록에 등재되었고 습도가 높은 편이지만 바람이 많이 불어서 상쾌하다. 현재 지상 낙원의 섬이나 과거 제2차 세계대전의 격전지로 전쟁의 섬이었.. 2020. 8. 3. 이전 1 ··· 215 216 217 218 219 220 221 ··· 2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