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방송 리뷰/역사저널 그날117 일본 교토 역사 및 세계문화유산( 금각사, 가레산스이식 정원, 니조성) 일본 역사와 문화의 중심 교토 1945년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미국은 일본제국의 항복을 이끌어내기 위해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하게 된다. 그런데 나가사키 대신 교토가 원폭 투하지역이었다. 그러나 미국의 헨리 L 스팀슨 장관이 교토 원폭투하를 강력히 반대했다. 그 이유는 일본인들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교토를. 파괴하며 일본인의 반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고 그렇게 되면 미국이 아니라 소련에 더욱 호감을 느낄수 있다고 생각, 종전 후 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이 줄어들 것이라고 판단해서 였다고한다. 그리고 50년 뒤 1994년 교토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 되었다. 17개의 세계유산을 품고 있는 일본문화의 정수가 담긴 도시이자 정신적인 수도이자 유네스코가 인정한 도시, 레몬 소.. 2022. 6. 13. (북아일랜드 분쟁 역사) IRA 영국 테러 이유 -벨파스트 협정 - 브라이튼의 호텔 폭파사건 5. 이전내용 북아일랜드 피의 일요일 4. IRA 영국 테러 피의 일요일 사건 이후 30년간 지속된 유혈테러가 시작되고 IRA를 중심으로 도심 곳곳에 유혈테러가 전개되고 1979년 발생한 IRA테러는 영국인에게 큰 충격이었다. 엘리자베스 2세의 시외숙부 루이 마운트배튼 백작, 요트 탑승 중 폭탄 테러 발생으로 사망한다. 초기 IRA는 북아일랜드 개신교 과격 단체로부터 가톨릭교도를 보호하는 역할이었다. 그러나 북아일랜드 내에서 열심히 싸워도 영국인들에게 인식이 되지 않자 피의 일요일 사건 이후 전략을 선회한 IRA는 활동지역을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영국 본토로 테러를 확대시킨것이다. 이것으로 영국인의 시선을 끌려고 했던 것이다. 피의 일요일 이후 유족과 청소년들이 IRA에 가입을 하는 등 한 가구당 한명 이상이 .. 2022. 6. 8. 북아일랜드 피의 일요일 4. [이전내용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나뉜 이유 3. 피의 일요일 이전상황 북아일랜드의 가톨릭교도 차별 북아일랜드의 주요 산업은 조선업이다. 조선업 종사자의 95% 이상이 개신교도이다. 가톨릭교도들은 조선업에서는 일자리를 얻을 수 없었다.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로 가톨릭교도는 공립학교 입학 불가했고 개신교 학교를 지나갈때 아이들에게 위협 행위를 가하기도 했다. 가톨릭교도들은 2등시민으로 취급당했다. 1945년부터 공공임대 주택이 많이 지어졌는데 이곳도 가톨릭교도들은 들어갈 수 없었다. 지방선거 투표권 또한 집을 소유하고 있는 세대주만 투표가 가능했다. 개신교도로 집이 여러개가 있으면 여러 곳에서 투표를 할 수 있었다. 또한 영국비상권한 법이 있는데 가톨릭교도들을 영장 없이 수색이 가능하고 재판없이 투옥 가능했.. 2022. 6. 7.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분단 이유 3. 이전 내용보기 (아일랜드 역사) 마이클 콜린스 IRA 탄생 2. 영국-아일랜드 조약이 체결 1919~1922년까지 영국의 식민지배를 벗어나기 위해 아일랜드 마이클 콜린스의 IRA와 영국군이 치열하게 싸움을 벌이고 여러 성과를 거두기도 하지만 전세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 1921, 22년은 1차세계대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물자부족이 심각했던 시기로 IRA로 물자 보급이 어려웠다. 그래서 1921년 7월 영국의 휴전 제안으로 영국-아일랜드의 협상이 시작되었고 같은해 12월 영국-아일랜드 조약이 체결된다. 영국의 지배하에 아일랜드 자치를 인정하는 내용이었다. 이때 아일랜드 측 대표는 마이클 콜린스와 아더그리피스였고 영국측은 당시 수상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당시 식민지 장관 윈스턴 처칠이었다. 불완전한 독.. 2022. 6. 6.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