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방송 리뷰/벌거벗은 세계사207 잉카 문명 멸망 이유 '프란시스코 피사로' [20-3] 잉카제국 The Inca Empire (1463~1532) 아메리카 대륙의 마야, 아즈텍문명과 더불어 또 다른 문명 잉카문명이 있었다. 잉카문명은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고원에 형성되었던 강력한 제국으로 잘 정비된 도로, 계단식 농토, 태양신을 숭배하던 문명이었다. 당시 잉카제국도 인구 900만 명에 이를 정도로 대단히 큰 문명이었다. 뛰어난 건축 기술(마추픽추)과 황금 공예로도 찬사를 받던 문명이었다. 잉카문명을 몰락시킨 '피사로' 이런 잉카문명을 몰락시킨 이는 ‘프란시스코 피사로’ 라는 이름의 스페인 출신 정복자로 코르테스에게 영감을 받아 잉카제국을 침공한다. 잉카를 공격하기 위해 말 30필, 정복자 160여 명으로 코르테스보다도 적었던 피사로 일행이었다. 당시 잉카의 지도자 아타우알파는 이.. 2021. 7. 26. 콜롬버스(=콜럼버스) 아메리카 신대륙 발견 과정, 의미 ->(이전내용)대항해 시대를 연 포르투갈이 인도항로 개척 이유 콜롬버스(=콜럼버스)가 서쪽으로 항해를 떠나려 했던 이유 1492년 여름 안달루시아 팔로스항에서 세계를 뒤바꿔 놓은 콜롬버스의 항해가 시작되었다. 콜롬버스는 서쪽 항로에 확신을 가지고 황금의 땅 아시아에 도달하겠다는 야망을 가지고 출발했고 항해 약 36일째 되는 날 육지가 나타난다. 콜럼버스는 아무도 가지 않은 서쪽으로 항해를 떠난 이유는 당시 15세기 말 유럽국가들은 아시아의 비단과 향신료가 큰 인기가 있었고 이 때문에 유럽인들은 아시아로 가는 항로 개척에 몰두하고 있었다. 동서양의 교역로였던 실크로드를 통해 비단, 향신료가 들어왔는데 이 실크로드가 폐쇄되는 사태가 발생한다. 1453년 술탄 메메트 2세가 이끌던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 2021. 7. 22. 아스테카(=아즈텍문명) 멸망 원인 스페인 정복자 에르난 코르테스 [20-1]콜롬버스 아메리카 신대륙 발견 과정, 의미 [20-2] 콜럼버스를 통해 새로운 대륙간에 많은 것이 교환이 되었고 새로운항해 라는 업적을 세웠지만 콜럼버스의 탐험은 잔혹한 식민화의 출발점이기도 했다. 콜럼버스가 최초의 정착지로 섬은 카리브해의 섬들은 뒤이어 온 정복자들의 베이스캠프가 되었다. 스페인 정복자들의 대륙 정복 시작 16세기 아메리카 대륙의 중심지 멕시코 시는 가장 파괴적인 인구 감소의 재앙이 벌어진 곳이다. 아메리카 대륙을 인도로 착각한 유럽인이 마음대로 지어버린 이름 인디언(=인도인)은 본래 아메리카 원주민으로 스페인들이 발을 딛기 전에 아메리카에는 세 곳의 대표적인 발전된 마야, 잉카, 아스테카 원주민 문명을 이루고 살았다. 에르난 코르테스 결국 콜롬버스가 금을 찾는데 실패하고 콜.. 2021. 7. 22. 3차 세계대전 위기 (피델 카스트로의 쿠바혁명->쿠바미사일사태) 3. 이전 내용 보기 ->1.냉전 시대 이전 상황과 시작 (철의 장막, 마셜플랜, 베를린 봉쇄) ->2.냉전시대 국면 전환 (스파이, 수소폭탄 개발 , 대리전쟁, 우주전쟁) 3. 제 3차 세계대전의 위기 미국 vs 소련은 약 13일간 핵전쟁 직전까지 대치했던 상황이 벌어진다. 소련의 수소폭탄 차르봄바의 성공(위 이전내용 참고)으로 소련의 상승세로 소련의 군사적 위협이 너무 커져서 미국이 쉽게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 되었다. 흐루쇼프는 다혈질 기질의 성격으로 유명하다. 처음 냉전의 시작은 트루먼 대통령과 스탈린 원수의 대결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케네디 대통령과 흐루쇼프 서기장으로 세대 교체가 된다. 이 두사람은 1961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정상회담에 참석한다. 이 회담은 실패한 회담의 교과서라 불릴만큼 싸늘한.. 2021. 7. 16.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