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방송 리뷰/벌거벗은 세계사207 뉴딜 정책 루즈벨트 대통령 경제 대공항 어떻게 극복했나? 3. 미국 경제 대공황 (1929~1939) 전후 대통령들 →30대 대통령 존 캘빈 쿨리지 (임기: 1923.8.2.~1929.3.4.) →31대 대통령 허버트 클라크 후버 (임기: 1929.3.4.~ 1933. 3.4)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델러노 루즈벨트 (임기: 1933.3.4~1945.4.12) * 참고로 이름이 같은 26대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임기: 1901.9.14~1909.3.4) 이분의 딸래미 앨리스 루즈벨트가 고종 황제 초대로 방문해서 난장치고 갔던 일화가 있음. ->일화 보기 경제 대공항의 한가운데 있던 시절 루즈벨트는 당선이 된다. 1932년 말 공화당을 꺽고 대통령에 당선된 루스벨트는 기존의 자유방임주의(국가가 경제활동 간섭X) 와는 다르게 국가 주도의 정책을 계획했는데 그것이 .. 2021. 8. 11. 1차 세계대전 무기들 (기관총, 탱크 마크 1, 잠수함 유보트 등등) 제 1차 세계 대전의 또 하나의 비극은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신무기가 전선에 투입되면서 수많은 희생자를 낳은 비극이 시작된다. 기관총의 개발 1914년 9월 마른 전투에서 영.프 연합군이 거센 공격을 퍼붓지만 독일군은 파리의 50km 앞까지 진격하게 되는데 이에 맞서 연합군을 막아낸 독일의 선전무기는 독일에서 만든 기관총이었다. 독일에서 만든 수랭식 기관총은 뜨거워진 총신을 물로 식혀 지속사격 능력이 향상된 무기로 적군이 돌격을 해오면 기관총으로 대응사격을 하면서 수많은 적군을 제거할 수 있는 엄청난 화력의 신무기였다. 그러나 이런 신무기로 그렇게 무수한 병사가 죽어나갔음에도 ‘돌격 앞으로’ 라는 19세기 낡은 전술을 고수했던 연합군으로 인해 병사들이 계속 죽어나가게 된다. 달아진 전쟁 체계에도 19세기.. 2021. 8. 6. 제1차 세계대전 미국 참전 이유-> 베르사유 조약 [1-4] [22-4]1차 세계대전 중립국이던 미국의 참전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무제한 잠수함 작전 제1차 세계 대전의 파란을 몰고 온 독일을 잠수함 유보트는 1914년 독일의 잠수함 기술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네덜란드 해안에서 독일군 잠수함이 어뢰를 발사하여 영국군 순양함 3척을 격침하게 된다. 영국이 독일을 해양 봉쇄 하자 독일은 영국을 둘러싼 모든 해역을 전쟁터로 선포하고 연합군과 중립국 가리지 않고 모든 상선을 격침한다. 서부 전선에서는 연합국과 동맹국이 치열한 소모전을 펼치고 있었고 동부 전선에서는 연합국 러시아가 동맹국 독일에게 밀리는 상황이었다. 그런 상황에서 연합국 영국과 동맹국 독일이 바다에서는 치열한 해전을 벌이고 있었다. 루시타니아호 침몰 사건이때 승패를 가르는 사건이 발생 하는데 191.. 2021. 8. 5. 1차 세계대전 참호전, 전쟁 참상 (베르됭 전투, 솜 전투) [1-3] [22-2 ]독일의 슐리펜 계획 [22-3] 초기 1차 세계 대전 분위기 초기 전쟁에 휩싸인 유럽의 분위기는 프랑스는 전쟁이 일찍 끝날 거라 예상을 하고 처음에는 군악대에 퍼레이드까지 하면서 전쟁을 참여했고, 독일 또한 드디어 전쟁이라는 말이 있을 만큼 전쟁을 기대했고 기차역에서 부모들이 자식을 웃으면서 보낼 정도로 분위기는 축제같은 분위기였다. 그러나 독일의 슐레핀 계획이 실패한 이후 서부전선이 지지부진한 상태가 계속되었고 전쟁을 끝내기 위해 지옥같은 전투가 계속 이어지게 되었다. 갈수록 병력이 부족해지자 영국에서는 18세부터 41세까지 남성을 징집하는 1916년 영국 최초의 징병제가 실시된다. 참호전 마른전투에서 패한 독일은 퇴각하면서 독일은 더이상의 후퇴를 막기 위해 참호를 만들었다. 참호의 등장은.. 2021. 8. 5.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 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