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방송 리뷰/벌거벗은 세계사207 소말리아 내전 역사 (시아드 바레 ~ 아이디드 ) 아프리카는 50 여개가 넘는 나라 3000 여개 이상의 종족이 공존하는 땅이다. 소말리아 내전을 그린 모가디슈 영화가 있다. 오늘은 이 영화 모가디슈의 배경지인 소말리아 이야기이다. 아프리카의 동쪽 끝 , 아프리카의 뿔이라고 불리고 곳 소말리아에는 약 3,300km 에 이르는 긴 해안선이 있고 거대한 사막과 초원 지대가 있는 소말리아이다. 소말리아의 수도 모가디슈이고 모가디슈 인기 명소 인도양의 푸른바다 리도 해변이 있다. 그러나 소말리아는 오랜시간 계속 된 내전으로 시내 대부분의 건물에는 총탄이 즐비하고 세계 최대 난민 수용소 다다브 난민 캠프에 약 20만 명의 난민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폭탄테러도 계속 일어나고 있다. 소말리아 내전 역사 소말리아는 왜 계속 전쟁이 일어날까? 30년 넘게 이어지는 소.. 2022. 1. 20. 애로호 사건 - 2차 아편전쟁- 베이징 조약 -신축조약 (30-4) 임칙서 아편전쟁 난징 조약 홍콩 할양까지 ~ (30-3) 애로호 사건 2차 아편 전쟁의 불씨 난징조약과 함께 아편전쟁은 마무리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난징조약이후 영국의 불만은 커져갔다. 난징 조약에도 불구하고 영국은 여전히 제한된 무역을 하고 있다고 생각해 추가요구사항을 요청한다. 그리고 또 다시 전쟁의 빌미를 제공한 사건이 발생한다. 1856년 10월 8일 광저우 앞바다에 정박한 해적선 애로호(arrow) 호에 청나라 관원이 승선해 애로호 선원 12명을 해적 혐의로 체포하게 된다. 문제는 애로호는 영국 국기가 게양되어 있었다. 애로호는 나포 당시에는 선적 등록이 말소된 상황이었고 이 사건을 빌미로 영국 영사는국기를 모독한 것에 대해 공개 사과를 요구했으나 청나라는 이를 거부하고 해적 혐의로 체포된 .. 2022. 1. 13. 임칙서 아편전쟁 난징 조약 홍콩 할양까지 ~ (30-3) 아편전쟁 원인 동인도 회사로 인한 아편 중독 심각성 (벌거벗은 세계사 30 -2) 청나라로 수입된 아편의 양은 1650년부터 1839년까지 65년 동안 34배 이상 증가했다. 청나라의 무역 흑자가 감소하게 되었고 1839년 경 청나리 수입품 중 아편이 57%를차지하게 된다. 1836년 경 1250만 명 가량이 아편에 중독된 것으로 추산되며 계층을 가리지 않고 청나라 전역이 아편에 중독돼있었다. 지방관리 및 공행 상인들 조차 뇌물을 받고 아편 밀매를 모른체하고 있던 상황이라 사태의 심각성을 알게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임칙서가 등장한다. 임칙서의 아편과의 전쟁 청나라 말기 정치가로 중국인의 자주적인 개혁을 외친 관료이자 지식인으로서 세계로 시야를 넓혀야 한다고 얘기했던 최초의 인물로서 중국인들의 영웅으로 .. 2022. 1. 13. 아편전쟁 원인 동인도 회사로 인한 아편 중독 심각성 (벌거벗은 세계사 30 -2) 아편 전쟁의 원인 영국의 무역적자 영국인들이 차를 많이 마시기 시작하면서 예상치 못한 위기를 초래하게 된다. 영국은 기후가 춥기 때문에 차 재배가 불가능한 나라이고 모든 차를 전량 수입에 의존했다. 대부분의 차를 중국에서 독점적으로 수입하게 되는데 청나라에서 전량 수입을 하게 되면서 영국도 중국에 무언가를 팔아야 수지타산이 맞는데 영국에는 중국에 팔 것이 없었고 이로인해 영국은 정말 오랫동안 무역적자를 보게 된다 당시 영국은 황금기가 시작되고 있던 시기였고 세계 각지에 식민지를 건설하고 위세를 떨치면서 '해가 지지 않는 나라'로 불리고 있었지만 유독 청나라를 상대로는 무역적자에 시달리고 있었다. 당시 청나라에서 수입하고 있던 것은 비단, 도자기 등 값이 비싼 상품이었고 영국은 산업혁명으로 만들어낸 면직물.. 2022. 1. 13.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