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reads (정치문화역사)33 기생 이야기 : 기생 유래, 역사 (교방, 권번 )/ 기생 의미 변천사 .. 기생은 언제 생겼나? 고려사 절요에 따르면 기생은 백제 양수척에서 나왔다. 양수척은 백제가 멸망하면서 생긴 유민, 떠돌이 들이었다. 이들 중 버드나무 그릇을 만드는 이들을 기생으로 삼았다. 그래서 초창기 기생은 여자 노비였다. 그러나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기생의 사회적 역할이 달라졌다. 중요국가 연회등에서 참석자들의 흥을 노래와 춤 및 풍류로 돋우는 일을 업으로 삼았던 여자를 일컫게 되었다. 관청 소속으로 춤추고 노래하는 사람들 관기를 여악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많은 궁중 공연을 위해 국가에서 관리하는 관기가 필요했다. 이 관기들이 시대의 변천에 따라서 조선 시대에는 기생이라 불리며 활발하게 양성되었다. 교방 기생들에게 춤과 노래 등을 가르쳤던 교육기관을 교방이라고 했다. 예로부터 기생하.. 2024. 1. 13. 삼국 시대 불교 수용 시기는? 부처님 사리 의미, 국내에 언제 들여왔나? 삼국 불교 수용시기고구려는 372년(소수림왕) , 백제 384년(침류왕), 신라 528년 (법흥왕)때 불교를 받아들였다. 신라가 가장 늦게 불교를 수용했는데 이차돈 (506~527) 의 신라 최초의 불교 순교자가 희생을 겪고 어렵게 불교가 수용되면서 불교 국가로써의 면모를 다지게 된다. 부처님 사리는 언제 국내에 들어왔나? 석가모니가 죽을때 화장을 했고 이때 석가모니 몸에서 나온 작은 구슬이 있다. 석가모니가 열반한 이후 부처님의 사리는 인도의 8개 지역으로 나뉘어서 봉안이 되었고 이것을 8분 사리라고 하는데 이것이 아소카 왕때 7개 지역에서 이 사리탑을 헐어서 그 사리들을 전세계로 전파를 하게 된다. 사리의 전파는 불교가 전세계로 퍼져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사리가 국내에 처음 들어.. 2024. 1. 10. 통일의 필요성, 당위성,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독일 통일에서 알수 있듯이, 통일 후 우리 경제는 반으로 줄어들 것이다. 빠른 경기 침체가 예상되지만, 그래도 해야 되는 이유는, 이산가족이다. 또한 우리는 북한의 엄청한 자원을 이용할수 있고, 국방비로 쓰이는 많은 돈을 경제개발에 투자 할수 있게 된다. 처음에는 경기침체를 감수해야 되는 몫이 있겠으나 그 이후에 우리는 빠른 경기 회복을 보일 것이다. 한국전쟁후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이렇게 빠른 성장을 했듯이... 1. slump 2. recession 3. downturn 4. depressed 5. stagnant 통일의 당위성 1. 민족주의적 당위성 오천년 전에 우리나라는 고조선으로 시작해서 크고작은 외침을 1000번 이상을 받았다. 이는 지정학적으로 한반도가 불리.한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보통.. 2023. 9. 18. 한옥 이야기 : 추녀가 올라간 이유/ 처마 기능 / 보의 의미.. 추녀란? 우리나라 한옥의 지붕 라인을 보면 일직선이던 처마 모양에서 끝부분이 위로 들렸다. 그 부분을 추녀라고 한다. 추녀가 들린 이유가 보통 우리는 우리나라가 곡선을 좋아해서 그렇게 만들었다고 많이 이야기 한다. 기단, 처마를 만든 이유 네모난 지붕에 서까래가 나와서 처마가 만들어진다. 처마를 만든 이유는 나무 기둥이 비를 맞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우리나 모든 한옥의 미학은 나무를 물에 젖지 않게 한다는 것이다. 나무가 젖으면 썩게 되고 썩으면 집이 무너지기 때문이다. 기단을 만든 이유도 물이 차면 나무가 썩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춧돌도 받쳐서 주춧돌 위해 기둥을 세운다. 추녀가 들린 이유나무가 물에 젖으면 안되기 때문에 처마를 길게 뽑아 만들었는데 그로 인해 처마 끝, 추녀가 더 길어지면서 .. 2023. 9. 9. 이전 1 ···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