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이 짱가네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12

창경궁 환경전 : 소현세자의 죽음 조선의 미스터리, 소현세자의 죽음: 독살인가, 질병인가?오늘은 조선 시대의 가장 비극적이고 미스터리한 사건 중 하나인 소현세자의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려 한다. 우리가 무심코 지나쳤을지도 모르는 역사의 흔적을 따라가며, 과연 그의 죽음에는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었는지 함께 파헤쳐 볼까요? 창경궁 환경당, 비극이 시작된 곳소현세자가 숨을 거둔 곳은 바로 창경궁 내 환경당이다. 이 건물은 왕이나 왕세자 등 주로 남성들이 사용하던 공간이었다. 이름 자체는 '기쁘고 경사스럽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환경당은 조선왕조사상 가장 끔찍한 사건의 배경이 되었다. 1645년, 청나라에서 8년간의 볼모 생활을 마치고 귀국한 소현세자는 환경전에서 생활하게 되지만 귀국 2달만에 이곳 환경당에서 갑작스럽.. 2025. 7. 21.
한국 우리나라 지폐 속 위인들 2 ( 천원짜리 이황 ) 한국 화폐 속 퇴계 이황 선생 이야기여러분, 한국의 1,000원권 지폐에 그려진 인물이 바로 조선 시대의 위대한 학자, 퇴계 이황 선생이다. 그는 우리나라 성리학의 큰 줄기를 이룬 분으로, 그의 삶은 학문에 대한 깊은 열정과 벼슬에 대한 무욕으로 가득했다. 이황의 삶: 학문에 일생을 바치다이황 선생은 어릴 적 아버지를 일찍 여의었다. 그는 독학으로 학문을 닦아 여섯 살부터 글을 읽기 시작했으며, 열두 살에는 『논어』를, 19세에는 성리학의 이론을 집대성한 『성리대전』을 접하며 홀로 성리학을 깨우쳤다. 스무 살 무렵에는 『주역』에 몰두한 나머지 밥도 제때 먹지 않고 잠도 자지 않아 평생 병약한 몸으로 살게 되었다. 이때 큰 병을 얻었다. 1,000원권 지폐 속 이황 선생의 초상화가 다소 마르고 병약한 느.. 2025. 7. 21.
남양주 홍유릉 이야기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왕릉(王陵, royal tomb). 그러나 단순한 무덤이 아닌, 나라의 흥망성쇠를 품은 공간이 있다면 어떨까요? 남양주에 자리한 홍유릉(洪裕陵, Hongyureung) 은 그 자체로 조선과 대한제국, 그리고 일제강점기라는 격동의 근현대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살아있는 역사 현장이다. 🏯 대한제국 황실의 묘역, 홍유릉이란?홍유릉은 원래 고종(高宗, Emperor Gojong)과 명성황후(明成皇后, Empress Myeongseong)의 능(陵, royal tomb)이다.그러나 이곳은 단지 두 황제와 황후의 무덤만 있는 곳이 아니다.💡 대한제국 황족의 비극을 담은 공간영친왕(英親王, Prince Imperial Yeong) 이은과 이방자(李方子, Princess Nashimot.. 2025. 7. 20.
육영공원 - 조선 최초 영어학교 (미국식 영어교육에서 일본식 변질역사) “세상을 바꾸는 힘은 언제나 새로운 배움에서 시작된다”19세기 말, 조선의 궁궐 한복판에 그 변화의 불씨가 피어올랐다. 단순한 학문이 아닌, 조선의 미래를 위한 창문이 열렸다. 바로 근대적 공립학교인 육영공원의 이야기다.📚 육영공원, 조선의 근대교육을 열다. 1882년 조선은 미국과 수호통상조약을 맺으며 서구 국가들과의 문호를 열었다. 그러나 이 조약 체결 과정에서 조선 측에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사람이 없어 의사소통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청나라 통역사의 도움을 받아 겨우 조약을 맺었지만, 세부 조항은 조선이 영어에 익숙해질 때 다시 논의하기로 할 만큼 영어의 필요성이 절실했던 순간이었다.고종 황제는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근대화를 위한 필수 조건으로 영어 교육의 중요성을 깨달았.. 2025. 7. 19.
카이사르 이야기 : 삼두정치 시작 212-1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로마 역사상 가장 극적인 인물 중 하나였다.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지만 정치 기반이 약했고, 내전과 정치적 숙청을 거치며 스스로 기회를 만들어낸 인물이었다. 🏛️ 귀족 출신, 약한 정치 기반 (기원전 100년 출생)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지만 정치 기반은 약했다. 그는 내전과 도망자 시기를 지나, 연설과 상징정치를 무기로 삼아 민중의 지지를 얻고, 귀족과 민중파 양쪽의 힘을 절묘하게 조율하며 결국 로마 공화정을 뒤흔든 인물이 되었다. 이 모든 일의 중심에는 '로마 공화정'이라는 정치 시스템이 있었다. 로마는 원래 왕이 다스리는 나라였다. 하지만 부패한 왕들의 전횡에 시민들이 분노했고, 기원전 509년, 왕정을 무너뜨리고 공화정이 시작되었다. 공화정은 권력의 집중을.. 2025.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