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근대화 역사 ( 조계지란? )
본문 바로가기
TV 방송 리뷰

인천 근대화 역사 ( 조계지란? )

by 365 ^^ 2023. 9. 2.
반응형

주요 역사적 사건과 인천의 역할

  1. 1875년 운요호 사건
  2. 1876년 강화도 조약 (조선이 일본에 강제 개항)
  3. 1882년 임오군란 (청나라 개입)
  4. 1883년 제물포 개항 (인천항 개항)
  5. 1884년 갑신정변 (급진 개혁파의 실패)
  6. 1885년 영국의 거문도 점령 (서구 열강의 조선 견제)
  7. 1894년 동학농민운동 (반외세 운동)
  8.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 전환)
  9. 1904년 러일전쟁 (한반도를 둘러싼 일본과 러시아의 대립)
  10. 1910년 국권 피탈 (일제 강점기 시작)

인천은 개항 이후 조선의 국제 관계와 정치적 격변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외세의 개입이 가장 두드러졌던 지역 중 하나였다.

 

인천 조계지란?

인천에는 과거 외국인 거주 지역이었던 **조계지(租界地)**가 존재했다. 이는 조선 말기 불평등 조약을 통해 일본, 청나라(중국), 영국, 미국, 독일 등 여러 나라가 설정한 외국인 전용 지역이다. 1883년 인천이 개항한 후, 일본이 가장 먼저 조계지를 설정했고, 이듬해 청나라도 이에 따라 조계지를 형성했다. 이후 각국이 협약을 체결하면서 공동 조계지까지 만들어지며 인천은 국제 무역과 외교의 중심지로 떠오르게 되었다.

 

조계지 형성 배경 

1883년 인천항이 개항되기 전 이곳은 작은 어촌마을에 불과했다. 일본은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서양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며 빠르게 근대화를 이루고 있었고 이후 주변국으로 무역 시장을 넓히며 자신들의 세력을 확장하길 원했다. 그 첫번째 국가가 가장 가까이에 있던 조선이었다. 당시 조선은 쇄국정책으로 문호가 막혀 있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이에 1875년 일본은 강화도에 운요호를 보내 일부러 군사적 충돌을 일으켰고 이를 빌밀로 조선의 3개 항구 개항을 요구하며 강화도 조약을 맺게 된다. 이 조약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었으나 또한 불평등 조약으로 일본인들에게 치외법권을 허용하게 되었고 이 조약 이후 일본이 조선을 본격적으로 침략, 간섭하게 되면서 결국 1910년 조선을 식민지로 만들었다.

 

더보기

After the Meiji Restoration in 1868, Japan began modernizing quickly by adopting Western ideas, technology, and culture. They wanted to expand their influence and trade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first country they targeted was Korea because it was right next door.

But Korea at that time had a strict isolation policy, which meant they didn't want any contact with foreign countries. So, in 1875, Japan sent a warship called the Unyo to Ganghwa Island, intentionally provoking a military conflict. After this incident, Japan used it as an excuse to pressure Korea into opening three ports for trade. As a result, Korea had no choice but to sign the Treaty of Ganghwa in 1876.

This treaty was Korea’s first modern international agreement, but it was very unfair. It gave special privileges to the Japanese, such as extraterritorial rights, meaning Japanese citizens didn't have to follow Korean laws. Because of this treaty, Japan gradually increased its interference and control over Korea, eventually colonizing Korea completely in 1910.

인천 조계지의 형성

1. 조선의 개항과 일본 조계지

인천은 1883년 일본에 의해 개항한 조선의 첫 항구 중 하나였다. 일본은 개항과 동시에 조계지를 설정했으며, 이후 청나라와 서구 열강들도 인천에 거점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이는 조선이 외세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된 결정적인 계기였다.

 

일본 조계지/청국조계지

2. 청국 조계지와 공동 조계지

1884년 청나라도 일본을 따라 조계지를 설정했다. 이후 미국, 영국, 독일 등 여러 나라가 합류하면서 각국 조계지와 공동 조계지가 인천에 형성되었다. 이로 인해 인천은 국제적 무역과 문화 교류의 중심지가 되었지만, 동시에 외국 세력의 영향력이 강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각국 조계지


인천 항구의 교통과 무역

1. 인천 외항과 내항의 차이

초기 인천항은 조수 간만의 차가 커서 배가 밀물일 때만 접근 가능했다. 썰물 때는 배를 외항에 정박한 뒤, 사람들은 걸어서 내항까지 이동해야 했다. 이는 무역과 교역의 불편함을 초래했으며, 인천이 국제항으로 발전하는 데 걸림돌이 되었다.

 

 

인천 외항/내항

인천 외항/내항

2. 인천이 주요 항구가 된 이유

비록 인천은 갯벌이 넓어 교역에 불리했지만, 한양(서울)과 가장 가까운 항구였기 때문에 국제 조약 체결과 외국인 교역이 집중되었다. 또한, 부산을 통해 한양으로 가려면 산맥을 넘어야 했지만, 인천은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높아 개항 후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조선의 개항과 일본의 근대화

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개항한 국가는 태국, 중국, 일본 순이며, 일본은 1854년 미국에 의해 강제로 개항되었다. 그러나 일본은 이후 메이지 유신을 통해 빠르게 근대화를 이루었다. 이는 미국이 일본 개항 후 남북전쟁(1861~1865년)으로 인해 일본을 주시하지 못했던 시기가 있었기 때문에, 일본은 스스로 근대화를 추진할 시간을 벌 수 있었다.

 

반면 조선은 일본과 달리 외세에 의해 강제로 개항한 후,  의지대로 발전할 기회를 갖지 못했다. 이는 조선의 경제적, 군사적 종속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협궤열차와 인천의 물류

1. 협궤열차란?

협궤열차는 철로 폭이 좁아 사람보다는 화물 운송에 적합한 열차다. 이는 주로 산악 지형에서 석탄 및 물류 운송에 활용되었다.

2. 인천-수원-여주 협궤열차

1930년대 인천-수원-여주를 연결하는 협궤열차가 운행되었으며, 주로 수도권에서 생산된 쌀을 인천항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했다. 이는 조선의 자원을 일본으로 유출하는 중요한 수단이었으며, 경제적 종속을 더욱 심화시켰다.

3. 광복 이후 변화

1945년 광복 이후, 협궤열차는 수인선으로 개편되어 시민들의 교통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1995년 노선이 폐지되면서 현재는 일부 구간만 복원되어 운행되고 있다.


인천 조계지의 역사적 의미

인천은 개항 이후 조선과 세계를 연결하는 중요한 항구 도시였다. 하지만 외세의 영향력 아래 놓이며 조계지가 형성되었고, 이는 조선의 경제적·정치적 종속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오늘날 인천은 국제항으로서 발전을 거듭하며, 과거 조계지의 흔적을 문화유산으로 보존하고 있다. 개항과 근대화의 상징이었던 인천은 여전히 한국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도시로 남아 있다.

 

 

▼인천의 최초들 

 

 

우리나라 최초의 호텔 / 최초의 극장은?

우리나라 최초의 극장 최초의 근대식 호텔 :대불호텔 인천의 근대화 거리는 역사의 흔적이 남은 건물들이 즐비하다. 최초의 근대식 호텔 대불호텔이 있던 자리에는 터만남아 있고 박물관을 만

myvoice.wissue.net

 

상하이 근대화 역사 / 조계지 형성 과정

 

벌거벗은 세계사 81회 상하이 근대화 역사 / 조계지 형성 과정

벌거벗은 81회 150년 상하이는 청나라의 작은 어촌과도 같은 곳이었다. 상하이는 양쯔강 하구에 위치해 있어 흙과 토사가 쌓여서 갯벌처럼 만들어진 지역이다. 그래서 상해, 바다위에 있다는 의

jangan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