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시위의 특징 (세손가락 의미, 시위 날짜의 의미)
본문 바로가기
TV 방송 리뷰

미얀마 시위의 특징 (세손가락 의미, 시위 날짜의 의미)

by 365 ^^ 2021. 5. 28.
반응형

미얀마 시위의 특징 

 

▶손가락 세 개 제스처

미얀마 시위할 때 자주 보는 이 손가락 세 개의 의미는 자유, 민주주의 , 선거를 의미하는 제스처이다. 

미얀마 시위 손가락 세개의 의미 : 자유, 민주주의 ,선거

 

▶시위 현장에서 냄비를 두드리는 시민들

가재도구를  두드리는 것을 '딴봉띠' 라고 부르는데 딴은 쇳덩어리, 봉은 형태 띠는 두드린다는 의미로 쇳덩어리로 된 물건들을 두드리는 풍습을 말한다. 이는 악귀를 쫓아내기 위한 민간 신앙의 일종이다. 그래서 군부를 악귀로 보고 군부 타도를 위해 냄비를 두드리는 시민 시위대의 모습이다. 

딴봉띠

 

▶ 시위 현장에서 여성 치마가 걸려있는 모습

미얀마 속담에 " 여성의 속옷 밑을 지나지 마라"  남자의 정기=퐁이 사라진다고 믿었기 때문에 미얀마 여성들은 속옷을 말릴 때 눈에 띄지 않는 곳에 말린다고 한다. 군부의 군인들은 남자들이기 때문에 이런 미얀마 문화 깊숙이 자리한 미신을 믿어서 치마를 걸어 놓으면 그 밑을 지나가길 꺼려한다. 그래서 지나가기 전에 이 치마 널릴 줄을 다 걷는다고 한다. 

 

여성의 치마를 널어놓은 빨래줄을 걷고 있는 군인

 

2007년도 샤프란 혁명 

미얀마 군부의 폭정에 반대한 승려 중심의 반정부 시위로 승려들이 샤프란 색 옷을 입는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그때 당시 군부를 피해 망명을 떠난 미얀마 여성 민주화 운동가들이 NGO를 결성해서 여성들의 속옷을 모아 군부의 퐁을 떨어뜨리려 했던 캠페인이다.

 

군인머리에 합성된 여성 속옷

이런 일이 벌어지면 일반 시민들뿐만 아니라 군부도 주술사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았다. 

 

▶ 22222 시위

 

미얀마에서는 어떤 숫자가 겹치는 날은 상당히 길하게 생각하여 2021년 2월 22일 날 전국적인 대규모 시위를 벌였었다. 미얀마의 샤머니즘 미신의 힘을 빌려서라도 민주주의를 쟁취하고 싶은 시민들의 마음이 투영된 것이다. 

 

미얀마 대규모 총파업

군부도 샤머니즘을 믿는 것은 예외가 아니다. 

군부의 샤머니즘 

미얀마 시위 형태를 보면 M으로 시작되는 지역에 군경이 집중적으로 진압을 하는 경향이 나타나는데  이는 미얀마는 성이 없기 때문에 Ma라는 호칭을 붙여서 부르게 된다. 

 

여성 대표 아웅 산 수 치 

이 Ma라는 뜻은 여성이라는 뜻으로 미얀마를 대표하는 MA는 아웅산 수치이므로 M으로 시작하는 곳들을 진압을 하면 아웅산 수치의 능력이 사라지게 할 수 있다고 군부는 믿고 이런 일을 행하고 있다. 이것도 주술사가 내린 지시라고 한다. 

 

 

미얀마 소수민족 탄압 역사 (로힝야족)

 

미얀마 소수민족 탄압 역사 (로힝야족)

미얀마는 세계 경제, 안보의 요충지로 많은 나라와 국경이 맞닿아 있는 국가이다. 미얀마 인구 5,480만 ,면적 6765만 9ha(세계 38위) 국토면적이 아시아의 10위, 대한민국의 7배이다. 정식 국가 명칭

jangane.tistory.com

 

아웅산 수치는 왜 로힝야족 학살에 침묵했나?

미얀마 시위 현 사태 속 미얀마의 수장인 아웅산 수치 여사에 대해 알아본다. 아웅산 수 치는 누구인가? 미얀마는 이름에 성이 없다. 그래서 아웅산 수치 전체가 이름이다. 1945년 그녀는 아웅산

jangane.tistory.com

 

미얀마 쿠데타 역사 정리 (영국식민지배 ~현재)

 

미얀마 쿠데타 역사 정리 (영국식민지배 ~현재)

미얀마를 이해하기 위한 두 가지 키워드로 첫째로 천연자원의 보고이다. 목재, 천연가스, 보석, 석유, 석탄, 광물, 전자제품의 필수 소재 '희토류' 등의 천연자원이 풍부하고 2020년 기준으로 중국

jangan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