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방송 리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26 Page)
본문 바로가기

TV 방송 리뷰909

의자왕 삼천궁녀의 낙화암 이야기 in 구드래 나루터 선착장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9회] 오늘의 탐사지: 부여, 익산 주제: 백제 이야기 출연자: 박찬호, 한선화 백제의 마지막왕 의자왕 '의자'의 뜻: 의로울 의 자애로울 자 삼천 궁녀와 연관되어 문란한 왕이라고 기억되는 데 사실은 그렇지 않았다. 사실 이름처럼 의롭고 자애로웠던 왕이고 효자였고 백성을 사랑하는 왕이었다. 중국에 효자로 이름난 사람 중에 '증자'라고 있다. 효의 대명사다. 그런데 의자왕의 별명이 '해동증자'였다. ☞해동증자- 바다 동쪽에 있는 증자와 같은 사람 의자왕은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가 있어 해동증자라고 불리었다. - 삼국사기 중- 554년 신라가 나제 동맹을 깨고 배신 한 후 백제는 많은 땅을 신라에 빼았겼다. 그 후 88년 후 642년 대신라전을 감행한다. 그때의 왕이 의자.. 2020. 7. 3.
백제 금동대향로,금동관음보살 발굴일화 in 국립부여박물관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8회] 오늘의 탐사지: 부여(정림사지,국립부여박물관) 주제: 유네스코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출연자: 박찬호 , 러블리즈 미주 국립부여박물관 국립부여 박물관에는 실제 백제 금동대향로를 구경할 수 있는 곳이다. 더보기 호자 : 이동식 요강이다. 호랑이 모양라 해서 호자다. 백제의 문화의 특징 1993년 12월 백제 왕실의 무덤 능산리 고분군 부근 절 터에서 발견되었다. 금동대향로를 만든 이는 성왕의 아들 위덕왕이다. 위덕왕은 제 27대 왕이자 성왕의 아들로 관산성 전투를 주도했던 인물이지만 이 전투에서 아버지가 전사하면서 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금동대향로를 제작한다. →관산성 전투, 성왕 위덕왕 이야기 금동대향로는 무엇에 쓰인 물건일까? 세 부분에 삼라만상의 이치가 담겨있다. 옛.. 2020. 7. 3.
김시민 장군 진주대첩 & 진주성 촉석루의 논개 이야기 (남강유등축제 기원)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7회] 오늘의 탐사지: 진주성 촉석루 주제: 임진왜란의 이름없는 영웅들 출연자: 업텐션 이진혁 임진왜란 당시 치열한 접전이 있었던 진주성을 둘러보며 김시민 장군의 진주대첩에 대해 알아본다. 진주성안의 촉석루에서 논개와 이름없는 영웅들의 이야기를 듣는다. 진주성 ▶임진왜란의 3대 대첩은? 진주대첩,한산도대첩,행주대첩 ▶진주성 북문이 이름은? 진주성의 북문 이름은 [공 (마주 잡을 공) 북(북녘 북) 문] 공북문이다. =두 손을 맞잡아 북쪽을 향해 절을 올리다 ▶왜 북쪽을 향해 공경을 표했을까? 조선시대에는 북쪽에 임금이 있다. (북쪽=임금)을 의미하므로 신하가 공손하게 절을 올린다는 의미에서 공북문이라 한다. ▶ 김시민 장군의 시호는? ▶임진왜란에서 진주 대첩이 갖는 의미는? 임.. 2020. 7. 2.
통영 이순신의 발자취를 찾아서 (세병관, 도남 관광지,한산도)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6회 리뷰] 오늘의 탐사지: 통영주제: 이순신의 발자취를 찾아서    출연자 :김명민, 김인권 오늘은 이순신 장군의 발자취를 찾아 통영으로 간다. 통영의 이순신 공원에서 만남을 갖은 뒤 세병관으로 이동 후 임진왜란 발발의 원인 및 전개과정 등을 공부하고 도남 관광지로 향한다. 이곳에서 실제크기의 거북선을 관람한 후 이순신 장군의 유명한 학익진 전법을 펼친 한산도로 이동 한산대첩에 대해 공부한다.  이순신 공원에서  통영의 어원은 무엇일까? 원래는 두룡포라는 이름의 작은 촌락었으나 이순신이 이 곳에 부임한 후 왜구와의 해전에서 연승 행진을 하며 조선 최초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되었고 이곳이 통제영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삼도수군통제영이란? 삼도(경상,전라,충청)의 수군 전체를 .. 2020.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