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방송 리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08 Page)
본문 바로가기

TV 방송 리뷰911

원간섭기 공민왕 업적과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등장 배경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53회] 오늘의 탐사지: 경북 영주 부석사 주제: 공민왕 이야기 출연자: 설민석 , 최수종 영주 부석사 부석사는 드라마 '태조 왕건' 촬영지로 왕건이 궁예와 이 길을 걸었다. 또한 이곳은 고려 말 공민왕의 흔적이 남아있는 유적지이기도 하다. 왕건이 세운 고려는 어떤 나라인가? 고려 918~1392 고려는 918년 왕건이 건국한 나라로 1392년 34대 공양왕까지 475년 동안 존속한 나라이다. 신라 말 지방 유력세력 토호의 아들이었던 왕건은 태봉의 왕, 궁예의 부하였던 왕건은 918년 궁예를 추방하고 왕이 된다. 후삼국을 통일해 함께 어우르는 정치를 한 왕건이 세운 고려는 고려 말 귀족들의 사치와 향락, 부패로 인해 백성들이 고통 받고 피폐한 삶으로 고통 받고 있었다. 안양루 .. 2020. 9. 14.
독도는 우리땅 역사 in 독도/스캐핀문서 677호/독도 삽살개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47회] 오늘의 탐사지: 독도 주제: 독도는 우리 땅/독도 역사 독도 섬 자체가 1982년 천연기념물 336호로 지정되어 있고 89개의 크고 작은 바위 섬으로 이루어진 독도 독도 가는 법 독도행 여객선은 울릉도 모든항(저동항 도동항 사동항)에서 출발한다. 배가 날씨나 파도 높이 등에 따라 접안이 안되면 독도를 가지 않고 돌아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접안 시설1996년 일본이 배타적 경제 수역에서 독도 등을 제외할 생각은 전혀 없다. 일본이 경제 수역에 독도를 포함한다. 이에 해운항 만청은 177억 원을 들여 접안 시설 건설에 착수했다. 이에 일본은 김태지 주일 대사를 불러 항의했으나 김태지 대사는 독도는 한국 영토이므로 접안 시설 건설은 당연한 주권 행사로 일본 측의 항의는 .. 2020. 9. 13.
(독도 박물관)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증거들과 일본 독도 편입과정 (3부)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47회] 오늘의 탐사지: 독도 박물관 (울릉도위치)주제: 독도는 우리땅 출연자: 설민석 독도박물관 이규원의 울릉도 검찰 일기 1696년 안용복 사건으로 일부 어업 가문에게 다케시마 도해 금지령이 내려지고 그래도 일본 어부들에 계속해서 조업을 하니 1837년이 되면서 일본 전역에 다케시마(=울릉도) 도해 금지령이 내려지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불법 어업을 하는 일본 어부들 때문에 1882년 울릉도로 검찰사를 파견한다. (검찰사란 조선 시대에 군사상 중대한 일을 살피기 위한 임시 관직으로) 고종의 명으로 파견된 울릉도 검찰사 이규원이 1달 동안 울릉도 검찰 일기를 쓴다. 울릉도에 거주하는 조선인의 현황과 일본의 불법 침입 사실 등을 기록하고 있다. 고종이 울릉도로 검.. 2020. 9. 13.
안용복과 울릉도 쟁계 in 안용복 기념관/대마도는 조선땅! (2부)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46.47회] 오늘의 탐사지: 울릉도 안용복 기념관주제: 독도 지킴이 안용복 이야기 출연자: 설민석 안용복 기념관 안용복은 누구인가? 안용복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고 한다. 그러나 호패에 쓰여진 기록을 보면 오충추의 사노비로 기록되어 있고 키는 146cm 정도로 작은 키에 얼굴이 검고, 검버섯과 수염이 있고 흉터는 없는 얼굴로 호패에 기록되어 있었다. 거주지는 부관 좌천리 왜관 근처로 왜관을 드나들어 일본어를 잘 구사했을 것으로 추청된다. 안용복은 외거 노비로 어업 분야에 종사했을 거라 추정하고 있다. 안용복 피랍사건 안용복 사건에 대해 일본에서 진술한 내용에 따르면 조선 숙종 때 울릉도에서 고기를 잡던 안용복 등 조선인들이 있었는데 일본인들이 탄 배가 을릉.. 2020.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