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방송 리뷰/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167 인수대비와 연산군의 갈등 연산군의 아버지 성종은 첫째 부인인 공혜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여러 후궁 중에서 중전으로 연산군의 어머니 후궁 윤씨를 낙점한다. 윤씨가 중전으로 간택된 이유가 성종이 맘에 들어했고 성종의 어머니 인수대비도 후궁 윤씨의 검소하고 겸손한 모습이 마음에 들었기 때문이었다. 왕실의 전폭적 지지하에 윤씨가 대비가 된다. 성종과 인수대비의 총애를 받던 윤씨는 1년 정도 잘 지내며 아들 연산군까지 낳았다. 그러나 아들 연산군을 출산한지 4개월 만에 갈등이 시작된다. 며느리가 생각했던것과 달리 질투가 심해 성종의 얼굴을 할퀴어 용안에 상처를 내고만다. 중전이 되고 태도가 돌변한 모습을 보자 인수대비를 비롯한 왕실 어른들의 눈밖에 나기 시작하고 시어머니 인수대비와는 고부갈등으로 관계 회복이 불가능해진 것이었고 이에 인수대.. 2021. 4. 27. 상해~충칭 8년간의 임정로드 (김구 남목청 사건) 이전내용 백범 김구 로드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18화] 근 현대사에서 결코 빠질 수 없는 인물 백범 김구 선생으로 여운형 선생과 더불어 죽음이 평생을 따라다녔다. 김구 선생은 죽음이 벗과 같았다고 말할 정도였고 jangane.tistory.com 상해~충칭 임시정부 로드 상해(1919.4) : 윤봉길 의사 폭탄 테러 항저우(1932.5) :임시 수도근처로 이동 전장(1935.11) :중일전쟁으로 창사(1937.11): 남목청 사건 광저우(1938.7) :기차 폭격 류저우(1938.10) :강따라 목선으로 이동 치장(1939.4): 충칭과 가까운 곳 정착 충칭(1940.9): 임시정부 전성기 * 상해 임시정부 13년동안 머묾(1919-1932) 윤봉길 의사 의거 이후 임시정부는 유명해지면서 항일 동지.. 2021. 4. 26. 이동녕 선생 독립운동의 최고 어른 [선녀들 리턴즈 25회 일부]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최고 어른으로 조선의 독립에 대부분을 참여하셨던 인물이다. 안중근의 멘토 최재형 있었다면 윤봉길의 멘토 김구 선생이 있었다. 그런 김구 선생님의 멘토가 바로 석오 이동녕 선생이다. 1932년 비밀리에 진행됐었던 윤봉길, 이봉창의 의거 또한 김구 선생이 이동녕 선생의 의견을 구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그만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신적 지주였던 분이다. 임시정부의 살림꾼 독립운동가 정정화의 에는 아버지 같은 분으로 김구 선생도 많이 의지하고 따랐다는 기록이 있다. 이동녕 어린시절 이동녕 선생은 (1869) 임시정부의 어른 중 어른으로 김구 선생(1876)보다 7살 많다. 지방군수 아버지 밑에서 태어나 지방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백성들의 어려운 삶을 알게 된.. 2021. 4. 24. 남영동 대공분실 (고문을 위한 최적의 설계 요소들) 박종철 고문치사의 그 장소 남영동 대공분실이다. 이 건물은 이 건물은 1976년 10월에 지어졌고 이후에 경찰의 관리하에 무고한 시민들을 고문하던 장소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민주 인권 기념관으로 만들어 한국민주화 운동의 역사와 인권의 소중함으로 배울수 있는 장소이다. '대공분실'이란 공산주의를 상대해서 간첩 수사를 하는 곳을 의미한다. 2018년 12월 민주 인권 기념관으로 바뀌어 현재는 임시 운영중이다. 2022년부터 민주인권기념관으로 정식 개관 예정이다. 1976년에 만들어진 대공분실 건물은 애초에 무시무시한 목적을 가지고 설계된 건축물이다. 고문에 적합한 설계가 곳곳에 확인되고 있다. 공포심과 절망강을 증폭시키기 위한 꼼꼼하게 설계된 남영동 대공분실 건물이다. ☞ 건물을 들어서기 전에 육중한 철문이.. 2021. 4. 22. 이전 1 2 3 4 5 6 ···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