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V 방송 리뷰/벌거벗은 세계사

3차 세계대전 위기 (피델 카스트로의 쿠바혁명->쿠바미사일사태) 3.

by 365 ^^ 2021. 7. 16.
반응형

이전 내용 보기 

 

->1.냉전 시대 이전 상황과 시작 (철의 장막, 마셜플랜, 베를린 봉쇄)

->2.냉전시대 국면 전환 (스파이, 수소폭탄 개발 , 대리전쟁, 우주전쟁)

 

3.  제 3차 세계대전의 위기  

 

미국 vs 소련은 약 13일간 핵전쟁 직전까지 대치했던 상황이 벌어진다. 소련의 수소폭탄 차르봄바의 성공(위 이전내용 참고)으로 소련의 상승세로 소련의 군사적 위협이 너무 커져서 미국이 쉽게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 되었다.  

 

흐루쇼프는 다혈질 기질의 성격으로 유명하다. 처음 냉전의 시작은 트루먼 대통령과 스탈린 원수의 대결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케네디 대통령과 흐루쇼프 서기장으로 세대 교체가 된다. 

 

. 나이 차이가 많은 흐루쇼프는 당시 67세, 케네디는 당시 44세(역대 최연소 대통령)였다.    

 

이 두사람은 1961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정상회담에 참석한다. 이 회담은 실패한 회담의 교과서라 불릴만큼 싸늘한 분위기에서 끝나버린다. 나중에 케네디는 흐루쇼프를 이렇게 언급했다.  

 

이런 사람은 처음이었다. 내 인생에 이렇게 힘겨웠던 순간도 없었다.  

 

 

쿠바혁명 

 

1953년 빈 회담 이전 쿠바 혁명이 발생하고 혁명의 주인공이 바로 피델 카스트로였는데 쿠바는 미국과 가까웠고 당시 쿠바의 독재정권 탄압으로 인한 쿠바 국민의 원성이 높았다. 그런 상황에서 친미 독재 정권을 몰아내는 쿠바 혁명이 발생한 것이다. 1953년 카스트로의 주도로 혁명이 시작되어 1959년 1월 1일 쿠바 혁명이 성공하면서 소련과 가까워지는 상황이 오게 된다. 

 

*피델 카스트로(Fidel Castro)  1959년 바티스타 정권을 무너뜨리고 공산 독재 정권을 세워 총리로 취임, 인권 변호사, 노동 운동가, 군인이자 공산주의 혁명가.     

 

반미 정권의 쿠바가 거슬렸던 미국은 카스트로를 죽이기 위해 암살단을 구성하고 1960년 CIA는 쿠바 망명자들을 모집하여 부대를 편성한다. 1961년 4월 케네디는 카스트로 공격을 지시하고 쿠바 망명자들은 피그만 해안 상륙해서 기습작전을 준비했지만 정보가 유출되면서 발각이 되고 피그만 침공 계획은 4일만에 실패한다.

 

50년 동안 CIA는 카스트로의 목숨을  끊임없이 노렸다. 최근 공개된 기밀문서에는 634번이나 암살시도를 했고 확인된다.시가 안에 소형 폭탄을 넣어 암살 계획을 세우는 등 계속된 미국의 압박을 받던 카스트로는 소련에 도움을 요청한다.  

 

 

쿠바 미사일 위기 시작  

흐루쇼프는 이때가 소련의 기회라고 생각했다. 1950년대 후반부터 미국은 소련 견제용으로 터키와 이탈리아에 미사일을 배치해 두었는데 후르쇼프는 똑같이 대응하고 싶었다. 그래서 미사일을 쿠바에 배치하기 시작한다. 쿠바와 미국의 거리는 약 150KM로 쿠바에 미사일 기지를 만드는것이 미국 공격에 용이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미국이 터키에 배치한 쥬피터 MRBM 16분안에 모스크바 타격 가능. 

소련은 초기에는 쿠바에 방어용 무기 지원으로 시작하다가 공격용 무기 지원으로 확대된 것이다. 소련과 쿠바는 비밀리에 미국 공격을 준비한다.

 

소련이 쿠바에 배치한 R-14 미사일 8분안에 위싱턴 타격 가능

그러나 핵전쟁의 위기를 감지하고 소련의 공산주의에 환멸을 느낀 소련 군사정보국 소속 대령 올레크 펜콥스키가 소련의 탄도 미사일 설계도, 미사일 포대, 배치 상황등 핵심정보를 영국 사업가를 통해서 미국에 정보를 알려주면서 계획이 틀어지기 시작한다. 

 

(좌)올레크 펜콥스키 (소련 군사정보국 소속 대령) 

 

미국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쿠바의 핵미사일 기지 건설을 인지하게 되지만 확증이 필요했다. 이에 미국은 1962년 10월 14일 정찰기에 미사일 기지가 포착되면서 핵미사일 설치가 확증이 된다.   

 

 

쿠바에서 미사일 발사시 워싱턴 뉴욕등 미국의 핵심 지역까지 타격이 가능했기 때문에 이 사실을 백악관에 보고하고 미사일 발사    시 약 8분 후 위싱턴이 타격되기 때문에 방어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쿠바 해상 봉쇄 

미국은 항공모함 8척과, 해군 함정 90척을 동원해 쿠바 해상을 봉쇄한다. 국제법으로 금지된 상황이었으나 전쟁을 불사하겠다는 것으로 소련의 미사일 운영에  들어가는 부품, 시설, 핵탄두의 더 이상의 반입을 막기 위한 봉쇄 조치였다.

 

1962년 10월 22일 소련에 대한 케네디의 최후 통첩

"쿠바에서 발사된 핵미사일이 서반구 나라를 공격하면 소련이 미국을 공격한 것으로 간주하고 전면적인 보복 대응에 나설 것입니다.  "

미사일 배치 완료

이 내용은 만약 요구를 받아들이 않으면 두나라가 핵무기를 가지고 죽고 죽이는 상황이 온 것이다. 그러나 소련은 미국의 요구를 거부하고 두 나라 사이에 비상사태가 선포된다. 미국은 핵전쟁을 준비하며 쿠바를 봉쇄 플로리다에 군인 약 20만 명을 파견, 14000여명으로 편성된 24개 공군 예비군 병력을 소집, 플로리다에 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배치를 마쳤다.  

 

플로리다에 Anti-aircraft Hawk missiles 호크 대공미사일 설치

이때가 전쟁에 대한 긴장감이 가장 높았던 상황으로 전 세계는 핵 전쟁의 공포에 떨게 되었다.  이렇게 미국과 소련이 대치하면서 동맹국들도 긴장상태로 전쟁준비에 들어갔다. 인류가 핵전쟁으로 인한 멸명의 문턱으로 가고 있던 순간이었다.

 

10월 26일에 tv를 통해 소련은 비공식 발표를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 미국내에서는 소련을 제압하기 위해  핵전쟁을 해야된다는 강경파들이 케네디를 압박하고 있었고 케네디가 이때 밀렸으면 정말로 3차 세계대전이 일어났을 것이다.   

 

미국 정찰기 격추 사건 

1962년 10월 27일  쿠바 상공을 정찰하던 미국 U2 기가 소련에 의해서 격추되면서 미군 조종사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같은 날 해상에서는 미 해군이 해상 훈련 상황에서 미군의 어뢰발사를 공격으로 오인한 소련의 핵 잠수함이 폭뢰를 발사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소련 본국과 교신이 끊겼던 잠수함 승조원들은 이를 핵 전쟁의 시작으로 받아들이고 자체적으로 핵 어뢰를 발사를 논의했지만 공격은 중단된다.  

 

핵 어뢰 발사는 장교 3명 전원의 찬성이 필요했는데 소련의 바실리   아르히포프의   반대로 공격이 무산된 것이었다.    

 

소련 미사일 기지 철수 의사 표명

제 3차 세계대전 위기를 앞둔 긴박한 상황에서 10월 28일  흐루쇼프는 쿠바 미사일 기지 철수 의사를 빠르게 밝히기 위해 라디오를 이용해 입장을 발표한다.  

 

이 조건을 케네디가  받아들이면서 쿠바사태는 마무리 된다 . 

 

부분적 핵 실험 금지 조약 체결

그 이후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핵전쟁을 막기 위한 부분적 핵 실험 금지 조약을 1963년 체결한다.  

 

 

 

 

데탕트 시대 도래와 소련의 해체

 

이후 데탕트 시대를 맞이하게 되고 많은 것이 변화한다.

 

* 데탕트(détente)는 ‘긴장완화’, ‘휴식’을 의미하는 프랑스어

1970년대 미국과 구소련을 중심으로 한 동 ·서 진영 간의 긴장완화을 뜻한다. 

 

1989년 11월 9일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고 1990년 10월 3일 독일이 통일을 맞이하고 1991년 12월 8일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정상이 소련 해체에 합의, 독립국가 연합을 수립하면서 1991년 12월 26일 소련은 해체된다.  

 

  소련의 해체는 미국과의 경쟁으로 인한 자체 붕괴되었다고 볼수 있다.   

 

냉전시대는 인간의 어리석음과 인간의 현명함을 동시에 보여주는 사례로 제2차 세계대전 때 나치라는 공동의 적을 두고 혈맹관계였던미국과 소련이 파시즘이라는 인류 최대의 적을 물리친 후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 나가면서 세계 평화를 앞당길 수 있었는데 소로를 향한 불신, 의심으로 인한 대립으로 두 나라의 불화가 인류의 위기로 확대되었던 어리석음을 보여줬다면 핵전쟁을 불사하자는 경경파의 주장을 뒤로 하고 케네디아 흐루쇼프는 서로의 대타협으로 인류의 전쟁을 막는 현명함을 보여주면서 현재의 평화의 시대가 열리게 된 것이다.  

  

 [ 상명대학교 교수 류한수 19-3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