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원촌마을
안동 원촌마을은 저항시인 이육사가 태어난 곳이다. 그러나 원촌마을은 대부분 물에 잠겨서 사라졌다. 이육사가 살던 생가도 없다. 대신 그의 묘소는 산 뒤에 있다.
투사 이육사=이원록의 조상으로 그는 퇴계 이황의 14대손이다. 퇴계 이황의 태몽은 꿈속에 공자님이 일흔 명의 제자를 데리고 성임문으로 들어왔다고 한다. 그리고 1501년 진성 이씨 가문의 황이다. 퇴계 태실이 있는 노송정 종택에는 현재 18대 손이 살고 있다.
이곳은 여전히 설, 추석을 제외하고 13번의 제사를 일년에 지내고 있다. 한달에 한번 꼴이다.
월영교
안동시 상아동에 위치한 월영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나무다리이다. 1998년 고성 이씨 이응택 묘지를 이장 작업을 하던 중 400년 넘은 미라가 이곳에서 발견된다.
이 미라옆에는 여자의 머리카락과 삼줄기로 만든 짚신이 놓여있었고 미라의 품에는 한글로 쓴 한통의 편지도 있었다. 원이 아빠를 애도하는 아내의 편지였다.
▼월영교 자세히 보기
도산서원
안동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이 제자들을 가르치고 제자들이 스승을 기리던 곳이다. 퇴계 이황은 도산 남쪽에 도산 서당이란 서당을 만들고 제자들을 가르쳤다. 그러다가 1561년 현재 도산서원 자리에 서당을 다시 짓고 옆에 제자들이 지내는 기숙사를 지었는데 기숙사 이름이 농운정사이다. 서당은 기숙사보다 작은 세 칸짜리였다. 1570년 퇴계 이황이 죽자 제자들이 이황의 위패를 서당 뒤에 모시고 이 자리를 서원으로 만들었다. 그것이 바로 도산 서원이다.
광명실은 일종의 도서관이면서 기록보관서이다. 4000여권이 넘는 서적과 이황의 유품이 보관되어 있다.
안동 봉정사
안동은 유교 이전에 불교가 융성했던 곳이기도 하다. 그 불교문화가 집약된 절 봉정사가 있다. 당나라로 유학을 떠났던 의상대사가 돌아와 화엄종이라는 새로운 불교 체계를 가져와 안동과 영주에 정착한다. 의상의 제자 능인대사는 안동에 봉정사를 창건한다. 봉정사는 신라 시대 창건된 절에 고려시대의 극락전이 있고 조선시대 전, 후기 건물이 있다.
봉정사에 있다는 것은 천년의 시간 한가운데 서있는 것이다.
1972년 극락전을 수리하기 위해 해체했는데 상량문 문서가 발견되었다. 그 문서에는 1363년 지붕을 중수했다는 기록이 적힌 문서였다. 이 문서가 발견된 이후 봉정사 극락전이 한국에서 현존하는 오래된 목조 건물로 인정받았다. 그전까지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이 최고령 목조건물이었다. 안동 봉정사 극락전이 중건될 무렵의 최고 권력자는 공민왕이었다. 1363년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수도 개경을 떠나 충주-영주-예천을 거쳐 안동까지 내려왔다. 안동 청량산 일대는 곳곳이 공민왕의 흔적이 있다.
응진전? 에는 공민왕의 아내 노국공주를 기리는 사당이다.
영호루
안동을 피난처로 삼은 공민왕은 70여일을 머물며 방탕한 생활을 했다고 한다. 공민왕 이후 세왕이 지나고 고려는 망하고 말았다.
하회마을
병산서원
류성룡의 옥연정사,병산서원과 김성일의 후손 파락호 김용환(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