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말라카 해협/ 자바섬 (동남아시아 해상 무역 역사)
인도네시아 위치와 면적 비교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나라로 섬이 17,000여 섬으로 이루어진 인도네시아는 서구식 지도와 실제 크기가 조금 다르다. 이것은 17세기 영국인이 항해를 위해 만든 전형적인 서구 중심의 메르카토르 세계지도이다.
메르카토르 도법은 독도를 중심으로 펼쳤을 때 극지방의 비율이 과장되고 왜곡된 지도에 숨겨졌던 인도네시아의 크기는 미국보다 동서의 길이가 더 길다.
동서간 길이가 긴 인도네시아는 17000여 개 섬마다 다른 언어와 종족, 문화가 모두 다르다. 이런 다민종, 다언어속에 하나의 나라로 유지되는게 신기할 정도이다.
1945년 8월 17일 독립을 선언한 인도네시아는 일제 패망 후 8월 17일 독립선언을 한다. 우리나라와 같은 역사지만 광복절이 이틀 늦다.
인도네시아 독립이념
9세기부터 세계 각국의 상인이 모였던 해양 왕국으로 세계화를 열며 원조 다문화의 땅으로 인도네시아의 포용정책은 종교와 언어에서 드러난다.
언어의 다양성
가장 다수인 전체 인구의 40%가 쓰는 자바어 대신에 소수의 언어 시장에서 쓰는 말레이어를 국어로 선택한다. 배우기 쉽고 상하 관계가 없는 말레이어이다. 다수의 자바언어를 썼다면 한 민족에게 세력이 몰리게 될것이라 여러 민족을 통합하는 언어 정책 말레이어는 신의 한수였다. 소수 민족들에 대한 세심한 배려이다.
종교의 다양성
시바 힌두교와 붓다 불교를 통합하고 인도네시아 인구의 87%가 무슬림인데 다수의 이슬람을 국교로 정하지 않고 이슬람, 천주교, 기독교 등 국가가 6대 종교를 모두 허용했다. 이는 약자를 배려하고 소수자를 보호하는 정책의 일환이다.
인도네시아 속 이슬람교
이슬람교는 배타적인 종교로 알려져있다. 2018년까지 여성 운전을 금지했던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보여주듯 이슬람국가의 여성을 억압하는 규율들은 인도네시아에서는 통하지 않는다. 국제라이온스클럽협회(세계 각지의 기업인이 모인 국제적인 사회봉사단체)가 있는데 세계에서 유일하게 여성 회원이 남성보다 많은 나라가 인도네시아이다.
미낭까바우족 세계 최대 모계 사회
15세기 ~17세기 4명의 여왕이 다스린 술탄국의 역사를 가진 인도네시아는 모계 사회의 전통이 있는 일부 섬들이 있다. 수마트라섬 바랏 주에는 인구646만의 '미낭까바우 '족은 세계 최대 모계 사회이다.
그렇다고 남자를 무시하는 것이 아닌 전통적인 가부장과 다르게 타지로 나가 새로운 것을 배워오는 미낭까우바의 남자들의 역할이고 존경받는다.
소뿔 모양 지붕의 미낭까바우식 가옥인데 집의 주인은 여자이다. 집을 물려받는 것은 여자이다. 동남아시아는 인도네시아 외에도 전통적으로 여성의 경제권이 강하다.
인도네시아 여자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인형인데 히잡 바비이다. 히잡을 쓴 다양한 직업의 인도네시아 여성을 표현한 것이다. 인도네시아에서 히잡은 패션이다. 덥고 모기가 많아 노출은 피하지만 히잡 착용은 선택이다.
이슬람을 받아들였지만 비교적 양성이 평등하고 힌두교를 수용했어도 카스트제도는 거부 여성의 사회 진출 기회가 보다 열려있는 분위기로 동남아 사회가 다양성 속 견고하게 지켜온 포용의 전통이 존재하는 나라가 인도네시아이다.
반둥회의 개최 의의와 60주년 기념식 모습
동남아시아들은 식민지배를 벗어난 이후에도 1955~1975 또 한번의 비극 베트남 전쟁,1970년대 캄보디아 킬링필드 200만 명 학살, 미얀마는 지금까지도 아픈 역사가 계속되고 있다. 이들 나라는 우
jangane.tistory.com
태국이 식민지가 안된 이유 국왕의 정책들은 무엇? (동남아시아 유일한 독립국가)
태국이 식민지가 안된 이유 국왕의 정책들은 무엇? (동남아시아 유일한 독립국가)
14세기 중국과 조선은 해금정책으로 바닷길을 막은 사이 서구 열강은 해양 탐사에 뛰어들며 결국 제국주의 시대가 열리고 동남아시아 식민지배 경쟁체제로 들어갔다. 동남아시아 대부분이 서구
jangane.tistory.com
[차이나는 클라스 214회 지리학자 김이재 교수 강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