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고분 벽화 (덕흥리 고분 무덤, 강서대묘 사신도, 수렵도 ..)
본문 바로가기
TV 방송 리뷰

고구려 고분 벽화 (덕흥리 고분 무덤, 강서대묘 사신도, 수렵도 ..)

by 365 ^^ 2022. 8. 19.
반응형

고구려 고분 벽화 특징

시간이 흐르면서 옛날 사람들의 삶의 자취는 사라져 버렸는데 반대로 죽음의 문화는 온전히 남아있다.  그래서 무덤만 본다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무덤의 구조와 벽화를 통해 고구려인들의 삶과 정신을 해석한다. 고구려 무덤 중에 벽화가 그려진 굴식 돌방무덤인데 몇 개의 중요한 벽화가 그려진 무덤이 있다. 4세기 중반 5세기 초반의 고구려 고분 벽화는 초. 중기엔 초상화 중심-> 풍속도-> 사신도로 변해온다. 

 

고구려 중요한 벽화가 있는 무덤들 위치
고구려 중요한 벽화가 있는 무덤들

 

덕흥리 고분 무덤
덕흥리 고분 평양 옆 평안남도 대안시 덕흥리에 위치 북한의 국보 유적 156호이다. 이 무덤은 흙으로 덮여있다가 발굴 후 들어갈수 있도록 만들어놨다. 무덤의 주인은 피장자의 초상화가 있다. 

 

덕흥리 고분 위치
덕흥리 고분 위치
덕흥리 고분 내부
덕흥리 고분 내부
무덤의 주인은 피장자 초상화
무덤의 주인은 피장자 초상화

 

덕흥리 고분의 묵서는 고구려 무덤 중 유일하게 무덤 주인과 축조연대를 정확히 알려주는 기록이다. 77세에 영락 18년(408년)에 죽었고 석가모니의 제자이고 이름은 진, 무덤을 만드는데 1만 명의 공력이 들어 날마다 소와 양을 잡아서 술과 고기, 쌀을 주었다 등이 기록되어 있다.

 

덕흥리 고분의 묵서 내용
덕흥리 고분의 묵서 내용


유주자사=지금의 도지사급으로 유주자사를 배알하기 위해 13인의 태수가 도열해 있다. 천장에도 상상 속의 천상의 세계를 그려놓았는데 선녀들과 상상 속 동물들이 있고 견우와 직녀 그림도 있다. 견우는 끌 견 소우로 소를 끌고 가는 사람을 의미, 말을 타고 동물을 좇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유주자사를 만나기 위한 13인 태수 도열
유주자사를 만나기 위한 13인 태수 도열
하늘을 나는 선녀
하늘을 나는 선녀
 견우와 직녀 그림 견우가 소끌고가는 모습
견우와 직녀 그림 


씨름 무덤 각저총
중국 길림성에 있는 벽화무덤인 씨름 무덤 각저총이라고 불린다. 각저총 씨름 무덤은 떠난 이가 좋아했던 것을 기록하는데 씨름하는 사람은 이국적인 큰 코를 가진 서역인들이다. 이것은 당시에 서역과도 왕래했다고 추측이 가능한 부분이다.

 

각저총 위치
각저총 위치
씨름무덤의 씨름도 씨름무덤의 씨름도
씨름무덤의 씨름도 
춤무덤/ 씨름무덤 모습
춤무덤/ 씨름무덤 모습

 

춤무덤 무용도
씨름 무덤 옆에 춤 무덤의 무용도가 있다. 

 

춤무덤 무용도



춤 무덤의 수렵도 
고구려 무덤은 초상화 중심에서 생활 풍속도로 변화하게 된다. 죽음을 추상화하는 단계인 것이다.

 

춤무덤 수렵도
춤무덤 수렵도



강서대묘  사신도 
강서대묘 평안남도 강서군 강서면에서 발견된 벽화무덤으로 고구려 제25대 왕인 평원왕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강서대묘
강서대묘


천계의 서쪽을 지키는 상상속의 신 백호, 주작은 그릴 때 반드시 쌍으로 그려지는데 남쪽에 난 출입구를 지키기 위해 쌍둥이로 그려진 것이다.  현무는 거북이와 뱀이 엉켜서 사랑을 나누는 그림이다. 거북의 몸을 감싼 뱀이 인상적이다.

 

강서대묘 사신도 백호
강서대묘  사신도 백호
강서대묘 사신도 주작
강서대묘  사신도 주작
청룡
청룡
현무
현무
통구사신총 현무도
통구사신총 현무도


초상화를 그리다가 실체하지 않는 그림 사신도와 같은 그림을 그린 이유는 초기에는 무덤의 주인에만 집중하다가 죽음 뒤에도 삶은 존재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에서 영혼의 세계에서 살아갈 무덤의 주인 

집안 오회분 
집안다섯무덤 중 1호, 4호의 벽화에는 달신과 해신의 만남이 드라마틱하게 그려져 있다.

 

집안오회분 그림



고구려의 역사는 '건강하시던 분이 갑작스레 사망했다' 라는 그렇게 허무하게 고구려는 멸망한다. 멸망의 이유는 수나라와의 17년 전쟁에 힘겹게 승리를 한다. 그리고 수나라-> 당나라로 넘어가고 오랜 전쟁으로 지쳐있는 고구려는 나당 연합군에 의해 역사의 막을 내린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