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30 쇄국 정책 Isolation Policy (Closed-Door Policy) 쇄국(鎖國) 정책, 즉 Isolation Policy(Closed-Door Policy) 는 외부 세계와의 교류를 차단하고 자국 중심의 폐쇄적인 정책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선은 17세기부터 외세의 침입을 방지하고 내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쇄국 정책을 시행했으며, 특히 19세기에는 서구 열강과 일본의 침략 위협이 커지면서 더욱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점점 더 강해지는 외세의 압력 속에서 조선의 쇄국 정책은 결국 무너졌고, 이는 일본의 개입과 식민지 지배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1. 조선의 쇄국 정책과 그 배경조선은 전통적으로 중국 중심의 사대 외교(Tributary Diplomacy)를 유지하며 다른 국가와의 접촉을 최소화했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서양 세력(포르투갈, 네덜란드, 프랑.. 2025. 2. 21. 1951년 임진강 전투: 영국군의 희생과 저항 1951년 봄, 중국군 제63군 소속 3개 사단이 서울을 향해 진격하며 적성-연천 지역으로 대규모 공격을 감행했다. 이들의 진입로를 차단하기 위해 영국군 제29여단이 임진강 일대를 방어하고 있었다. 👉여단 몇명의 군인으로 구성되었나? click 영국군 글로스터셔 연대 제1대대는 박격포 부대와 ‘임진포대’라고 불리는 대포 부대의 지원을 받으며 방어 준비를 했다. 그리고 벨기에 대대와 두 개의 추가 부대가 동쪽을 지켰으며, 전차 부대, 대포 부대, 그리고 다리를 놓거나 장애물을 제거하는 공병 부대도 함께 지원했다. 하지만 방어해야 할 지역이 약 12km나 되어 군인들이 적군을 막기에 너무 넓고 힘든 상황이었다.[👉군대조직도 알아보기] 4월 22일, 따뜻한 봄날 밤, 임진강 전투가 시작되었다. 글로스터셔.. 2025. 2. 20. 글로스터셔 연대 역사와 칸 중령 활약 한국전쟁에서 영국군의 가장 용맹한 전투 중 하나로 꼽히는 것이 바로 **임진강 전투(1951년 4월 22~25일)**이다. 이 전투에서 **영국 글로스터셔 연대(Gloucestershire Regiment)**는 중공군의 엄청난 공격을 끝까지 막아내며 ‘글로스터 힐(Gloster Hill)’이라는 전설을 남겼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제임스 파워 칸 중령(Lt. Col. James Power Carne)**이 있었다. 칸 중령은 부하들과 함께 끝까지 싸우며 영국군 역사에 길이 남을 용맹을 보였고, 포로가 된 후에도 군인의 명예를 지키며 강인한 리더십을 발휘했다. 또한 글로스터셔 연대의 베레모에는 ‘이집트(Egypt)’라고 적힌 배지가 있는데, 이는 연대의 독특한 역사적 유산을 나타내는 상징이다. 1... 2025. 2. 19. 한국전쟁 중 미국군 참전 배경 및 규모, 주요 전투 한국전쟁(1950~1953)은 냉전 시대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 성격을 띠고 있었으며, 미국은 유엔군의 주축으로 한국전에 가장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미국군은 전쟁 내내 주요 전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낙동강 방어전, 인천상륙작전, 장진호 전투, 춘천-서울 전투 등에서 중요한 공헌을 했다.1. 미국군의 한국전쟁 참전 배경국제적 배경냉전과 도미노 이론1950년대 초반 미국은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도미노 이론(Domino Theory)’을 신봉하고 있었다.한국이 공산화되면 동아시아 전체가 공산주의 영향권에 들어갈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음.유엔의 개입과 미국의 주도적 역할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남침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침략을 규탄하고 군사 개입을 결의(6월 27일).미국은 .. 2025. 2. 19. 한국전쟁 중 맥아더의 해임 이유 1951년 4월 11일, 미군과 유엔군 총사령관이었던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Douglas MacArthur)**은 해리 트루먼(Harry S. Truman) 미국 대통령에 의해 전격 해임되었다. 이는 미국 군사 역사상 가장 논란이 많았던 해임 사건 중 하나로, 단순한 인사 문제가 아니라, 전쟁 수행 방식과 정치적 방향을 둘러싼 갈등 때문이었다.1️⃣ 맥아더와 트루먼의 갈등 배경① 한국전쟁 초기, 맥아더의 성공과 영향력 증가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 이후, 미군이 낙동강 전선까지 밀리며 전세가 불리해졌다. 그러나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으로 전세를 뒤집었고, 서울을 수복한 후 북진하여 10월 19일 평양을 점령하고 10월 말에는 압록강까지 진격했다. 이 과정에서 맥아더는 ".. 2025. 2. 19. 이전 1 2 3 4 ··· 2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