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6월 29일 오전 9시 여당 민주정의당 당사에 회의가 예정되어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다른 할 말이 있다는 민정당 대표위원 노태우는 6.29선언을 발표한다. 얼마전에 민주정의당 차기 대통령 후보로 선정이 되어 있었고 이대로라면 몇달 뒤 치러질 체육관 선거를 통해 차기 대통령 당선이 유력했기때문에 충격이 아닐수 없었다. 오랜 군사정권에 지친 시민들은 선뜻 믿기 어려웠던 6.29 선언이었다. 6.29 선언으로 그는 대중적인 정치인이 된다. 그리고 몇년 뒤 6.29 선언에 대한 전두환과 노태우의 서로 다른 주장이 나왔다.
6.29 선언 내용
국민 기본권 신장, 언론 자유 창달, 지방자치제 실시 등 총 8개 조항이 있었다. 그 중에 가장 핵심이 되는 내용은 대통령 직선제 실시였다. 전두환 대통령이 직선제에 대한 논의를 88 올림픽 이후로 하겠다고 했는데 노태우가 대통령이 되고
기습적으로 6.29 선언을 한 것이다.
전두환 대통령은 6월 항쟁 이전 2달전에 4.13 호헌조치를 발표하고 현행 선거제도를 통해 후임 대통령을 뽑겠다고 선언했었다.
그래서 6.29 선언을 폭탄선언이라고 했다. 노태우는 전두환과 상의 없이 독단적으로 선언했다고 이야기했다. 게다가 6.29 선언을 전두환이 받아주지 않으면 대통령 후보와 모든 공직에서 사퇴하겠다고 말한다.
그러나 얼마 뒤 전두환 대통령은 6.29 선언은 자신의 작품이라고 했고 노태우도 회고록을 통해 자신의 작품이라고 상반된 입장으로 고수했다. 그 뒤로도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6.29 선언에 대한 의견을 냈다고 나왔다.
6.29 선언을 한 이유
그러나 6.29 선언의 주역은 따로 있었다. 1987년 6월 10일 6월 항쟁이 시작된다. 시위에 참여하는 시민들이 들어나자 경찰의 강경진압이 이어졌으나 전국에서 동시다발로 이어지는 시위에 경찰력도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더욱 놀라운 것은 과거 학생운동을 못본척하던 평범한 회사원들이 시위에 적극적으 참여했다.
학생, 회사원, 주부,노동자, 종교인등 사상 최대규모의 항쟁에 당황했던 전두환 정권이다. 6.26일 국민평화 대행진은 절정에 다다른 6월 항쟁으로 전국 30여개의 시,4개이 읍,면에서 180만명의 사람들이 시위에 나서게 되고 혹시나 하면서 시위를 막으려고 했던 전두환-노태우의 꿈은 조각난 것이다. 이 시점에 전두환 정권의 카드는 없었다. 무력으로 진압할수 없었던 것은 임기 내내 미국 눈치를 살피던 전두환이었기 때문이다.
사실 전두환은 6월 19일 군 출동명령을 내렸으나 미국의 제지로 취소를 했던 것이다. 또한 전두환이 유치했던 88 올림픽 위원장 사마란치는 서울에서 유혈사태가 일어나면 올림픽 개최지를 변경하겠다고 수차례 경고했었다. 당시 미국, 서독 등 여러도시에서 한국의 상황이 악화되면 올림픽을 자신들이 개최하겠다고 의사표명을 했었다.
결국 6.29 선언은 6월 항쟁에 대한 굴복이자 항쟁의 결과물이었다. 마침내 대통령 직선제가 16년 8개월 만에 이루어졌다. 6.29 선언 주역 논란은 결국 자신들도 민주화에 공이 있다고 주장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전두환이 직선제를 받아들인 이유
전두환이 직선제를 계산없이 받아들이지는 않았다. 전두환은 직선제에서 이길수 있는 필승전략이 있었다. 전두환과 노태우가 생각해낸 필승 전략은 야권의 분열이었다. 김영삼 뿐만아니라 김대중도 동시 출마를 하면 분명히 야권은 분열하고 자신들이 이길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래서 그들이 직선제를 논의 할때 하나의 세트처럼 김대중의 사면 복권을 같이 생각했다.
전두환 노태우의 예상대로 13대 대선은 36.6%를 득표하며 그들의 승리였다. 김영삼과 김대중은 0.9% 차였다. 이들이 단일화를 했으면 50%가 넘는 득표율이였을 것이다.
국민들이 어렵게 쟁취한 대통령 직선제였으나 야당의 단일화 실패로 6.29 선언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를 수용하고 13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이들은 정당성 확보와 함께 권력을 다시 창출했던 것이다. 독재정권 2인자 노태우의 당선은 국민에겐 아이러니하고 기막 상황이 아닐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87년은 한국의 민주주의가 본격적으로 일어나고 민주화가 한걸음 진전된 해였던 것은 분명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