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V 방송 리뷰/역사저널 그날

인수대비 이야기 (왜곡된 이미지에는 성종의 영향이 크다!?)

by 365 ^^ 2021. 8. 12.

인수대비는 명문가의 딸

인수대비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인 한확의 딸로 한확은 자신의 첫 번째 누이동생이 명나라 영락제 후궁이 되었고 또 한 명의 누이가 명나라 황제 선덕제 후궁이 될 정도로 미모와 여러 조건이 출중했던 집안이다. 바로 그 한확의 6번째 딸이 인수대비 한 씨이다. 

 

인수대비 가계도 

 

수양대군이 인수대비를 며느리고 삼은 이유는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키기 전 큰아들과 인수대비를 혼인시키고 수양대군의 딸과 정인지의 아들을 정략결혼시킨다. 정치적 후원을 고려해 수양대군이 선택한 며느리가 인수대비인 것이다.  청주 한 씨 집안이 조선 개국공신 집안이었고 당시 조선의 외교노선은 명나라와의 사대외교로 명나라에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한확이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계유정난 후 한확과 정인지는 적극 가담해 일등공신이 된다.

 

 

세자빈이 된 인수대비

인수대비의 남편은 수양대군의 첫째 아들(의경세자)로 시아버지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로 인수대비는 세자빈이 된 것이다. 그러나 결혼 5년여 만에 남편 의경세자가 요절하자 왕비의 꿈을 접고 궁궐에서 나오게 되는 인수대비였다. 당시 21살의 나이에 인수대비는 이미 세 자녀를 둔 어머니였다. (월산대군 4세, 명숙 공주 2세, 자을 산군(성종) 생후 5개월) 

 

'폭빈' 인수대비 

게다가 왕의 후계자 자리에는 시동생(해양대군)이 오르게 되면서 인수대비는 아랫동서에게 왕비 자리를 내줘야했던 인수대비였다. 그렇게 때문에 젊은 나이에 청상과부가 되어 오히려 더 자신을 다그쳤을 듯하다. 자식들을 엄하게 가르치기로도 유명했던 인수대비의 별칭이 '폭빈'으로 포악한 세자빈이라는 별칭을 인수대비의 시어머니 정희왕후가 농담 삼아 불렀다고 한다. 

 

둘째 아들 성종 즉위

1469년 11월 28일 예종이 즉위 14개월 만에 숨을 거두었다. 왕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왕위계승을 둘러싸고 조정은 혼란에 빠진다. 대신들은 후사를 결정짓기 위해 정희왕후를 찾아가고 정희왕후는 수빈 한 씨(인수대비)의 둘째 아들 자을 산군을 지목한다.  그리고 예종이 승하한 그날 오후 1469년 11월 28일 13살 성종의 즉위식이 열렸다. 

 

12년 전 세자였던 남편을 잃고 궁궐을 떠나야했던 수빈 한씨(인수대비)는 어린 아들 성종(자을산군)이 즉위하게 되면서 왕의 어머니가 되어 다시 궁궐로 돌아온다. 

 

인수대비의 둘째 아들(자을산군)이 왕위에 오른 이유

당시에 후계자 구도를 보면 예종이 즉위 1년 2개월 만에 갑작스럽게 사망하게 되니 예종의 아들 제안대군 4살이 1위였으나 나이가 어려서 제외가 되었고, 2순위 월산대군이 돼야 하지만 자을 산군이 된다. 이유는 자을 산군의 장인이 한명회였기 때문에 한명회와 정희왕후의 정치적 결탁이 있었을 것으로 본다. 

 

정희왕후의 속내는 계유정난부터 왕권 약화의 과정을 지켜봤던 인물로 또 다시 정국이 혼란스러워질 것을 우려해 어린 왕의 왕권을 뒷받침해 줄 실세 한명회를 필요로 했던 것이다. 

 

소혜왕후(=인수대비)의 아들 성종은 어떻게 왕위에 올랐나?

 

덕종과 소혜왕후(=인수대비)의 아들 성종은 어떻게 왕위에 올랐나?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32회] 오늘의 탐사지: 서오릉 - 경릉 -명릉 주제: 서오릉 속 경릉 관련 이야기 서오릉 서오릉: 경릉, 익릉, 명릉, 홍릉, 창릉 경릉 (추존 덕종과 소혜왕후의 능 1437~1504)

jangane.tistory.com

 

 

왕실 여성 3위->서열 2위 등극

인수대비는 왕비를 거치지 않고 바로 대비가 되는 상황이 된다. 시어머니 정희왕후, 바로 위 왕비 예종의 왕비 안순왕후, 인수대비까지 궁궐에 3명의 대비가 있게 되는 조선 최초의 상황이 만들어진다. 인수대비의 남편(의경세자)을 덕종으로 추숭 하면서 인수대비를 서열 2위가 된다. 

 

 

성종이 20살까지 대비가 수렴청정을 하게 된다. 조선 최초의 수렴청정을 했던 인물이 정희 왕후이다. 이후에 정희왕후는 인수대비에게 수렴청정을 맡기게 된다. 성종은 3명의 대비를 잘 모시기 위해 새로운 궁궐 창경궁을 만들었다. 조경도 여성적인 아기자기한 모습의 궁궐인 것도 바로 대비들을 위한 궁궐이기 때문이었다. 창경궁은 성종의 효심이 드러난 궁궐이다. 

 

호학 군주 성종

7년간의 수렴청정이 끝나고 친정을 시작한 성종은 재위 기간 동안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경국대전을 완성, 삼국사절요, 국조오례의, 동국여지승람, 악학궤범, 동문 선사가 독서제 확대 실시, 독서당 설립, 언론 삼사 제도 확립, 대간 육성  등 조선을 위해 추진되어 온 법과 여러 제도를 완성시킨다. 이를 기반으로 성리학적 통치기반을 확립한다. 또한 최초로 사림을 등용한 왕이 성종이다. 

 

 

당대 인수대비 평가

인수대비의 불교신자로 인수대비가 시행한 다양한 불교 활동, 불경 간행 등으로 인해 성리학을 추구한 신하들의 비판을 받았었다. 성종이 성리학을 강화하면서 도첩제를 없애려고 하자 불교신자였던 인수대비가 도첩제(승려가 출가할 때 국가가 신분을 공인해 주던 제도) 폐지를 반대하며 신하들이 이를 비난했다. 

 

인수대비의 이미지는 성종의 영향이 크다. ?!

 

성종의 또 다른 모습

하지만 성종에게는 학문을 좋아하는 호학 군주라는 별칭에 걸맞지 않은 또 다른 모습이 있었다. 야사에는 밤마다 성종이 기생들과 술과 잔치를 즐겼다고 한다.  성종은 부인이 3명 후궁이 9명으로 12명의 왕비와 후궁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수는 16남 12녀였다. 왕비 3명과의 사이에서는 2남 1녀, 후궁 9명 사이에서는 14남 11녀를 뒀다. 후궁의 수는 법적으로 정해지지는 않았으나 관행적으로 대략 9명까지 들였다고 한다. 연산군이 향락과 여색에 빠질 수 있던 것도 아버지 성종을 보고 배운 게 있어서 일거라는 소문이 있기도 하다.  

 

인수대비가 내훈을 지은 이유

내용은 인수대비가 창작을 한 내용이 아니라 중국의 <열녀><여교><소학><명강>에서 채록하여 편성한 것이다. 이것은 우리나라 최초로 여성이 저술한 서적이기도 하다. 인수대비가 내훈을 지은 이유는 아들 성종 때문이다. 성종이 후궁이 많아 왕실의 안녕을 위한 궁중 여성들의 교육이 필요했고 무엇보다 성리학의 이념으로 국가를 통치하려 한 성종이었기 때문에 어머니 인수대비는 아들을 위해 성리학적 여상상을 보급하려 노력했던 것이다. 

 

성종의 성리학 이념 확립 의지

유교적 규범에 입각한 왕실 여성들의 질서 확립을 본보기로 했고 당시 신분 고하를 막론하고 여러 남자들과 자유로운 관계를 맺은 어우동을 사회 질서를 어지럽혔다는 이유로 성종의 강력한 의지로 어우동을 교형으로 처형했다. 이때가 인수대비가 성리학적 , 유교적 여성관을 재정비하던 시기로 1480년 어우동 처형, 1482년 폐비 윤 씨 사사되었다.  성리학적 이념이 강화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여성상을 요구했던 시기이다. 

 

왜곡된 인수대비 이미지 why?

한명회의 딸 공혜왕후 사망 후 중전이 된 후궁 출신 폐비 윤 씨는 거짓 편지로 후궁을 모함, 비상(독약) 소지, 굿 등으로 폐비 2년 전부터 논란에 휩싸여 있었다. 실록에서 폐비 윤 씨 사사를 성종이 주도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신하들은 세자의 어머니기 때문에 폐비도 반대하고 사사도 반대하지만 중전 폐위와 관련해 화를 내기까지 하며 성종은 신하들과 격렬하게 대립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인수대비가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조선 후기에 성리학이 강화되자 이것은 성리학에서 남성에게 요구하는 수신제가 치국평천하, 중 제가(즉 집안을 잘 다스리지 못한 것)의 책임을 다하지 못한 성종을 미화시키기 위해 폐비 윤 씨 사건의 책임은 인수대비에게 전가되고 성종은 성군으로 미화되면서 이야기가 야사로 흘러가 며느리를 폐하고 사사시켰다는 왜곡된 인수대비의 이야기가 야사 '연려실기술'에 수록돼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것이다. 야사에서는 우리에게 익숙한 인수대비의 악독하고 냉혈한 시어머니로 그려졌지만 정사에서는 조금 더 인자한 이미지로 나타난다. 

 

인수대비 또한 성리학의 희생양이 된 것이다. 인수대비는 말년에 어머니 폐비 윤씨 죽음의 비밀을 알게 된 손자 연산군과의 갈등 속에 68세의 나이로 불행한 최후를 맞게 된다. 

[출처 23,164회]

 

->(더보기) 인수대비와 연산군의 갈등(폐비 윤 씨 이야기)

 

인수대비와 연산군의 갈등

연산군의 아버지 성종은 첫째 부인인 공혜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여러 후궁 중에서 중전으로 연산군의 어머니 후궁 윤씨를 낙점한다. 윤씨가 중전으로 간택된 이유가 성종이 맘에 들어했고 성종

jangane.tistory.com

 

-> (더보기) 인수대비 무덤 경릉의 특징은 무엇일까? 

 

->연산군 사랑받지 못한 군주는 얼마나 위험한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