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 서양 이모티콘 모양의 차이 why? 동서양의 감정 표현 차이
본문 바로가기
Goodreads (정치문화역사)

동. 서양 이모티콘 모양의 차이 why? 동서양의 감정 표현 차이

by 365 ^^ 2024. 9. 14.
반응형

동.서양 이모티콘 모양 왜 다른가? 

인간은 자신을 제외한 바깥을 판단할때 두개로 나누어서 판단한다. 하나는 얼굴이 있는 존재, 다른 하나는 얼굴이 없는 존재 , 뇌에는 얼굴만 판단하는 뇌 영역이 있는데 이곳은 눈과 입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래서 얼굴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 이것은 인간이니까 사회적 관계를 맺어 , 이것은 사물이니까 사물로 대한다. 

 

방추상회

 

감정을 읽는 방식은 동.서양이 다르다.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양인은 주로 눈을 보고 , 서양인은 주로 입을 본다. 그래서 이모티콘을 사용시 동양인은 주로 눈을 바꾸는데 서양인은 입 모양을 바꾼다. 동양 사람들은 자신의 본심을 잘 표현하지 않는다.  눈은 감정표현에 있어 미묘하고 제어하기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에 동양 사람들은 상대방의 눈을 통해 감정을 파악하는 법을 익히게 되었다.  

 

 

 

그래서 눈으로 감정을 읽어야 하기 때문에 눈에 대한 표현이 강조되었다. 

 

동서양 감정표현의 차이 why? 

 

종교적인 관점 

반면 서양 사람들은 직접적인 감정 표현을 말로 하기때문에 입이 중요하다. 그래서 서양의 기독교 의식 중 하나인 고해성사를 통해 자신의 죄와 감정을 솔직하게 고백하는 과정이 영적 성장이 필수적인 요소인 것이다. 또한 기독교 예배에서는 찬송이나 기도를 통해 감정을 강하게 표현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다. 

 

동양의 불교는 감정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평온한 마음을 유지하는 것이 깨달음으로 이르는 길이라고 가르친다. 명상을 통해 강한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내면의 평화를 찾도록 장려한다. 

 

역사적인 관점 

한국전쟁은 한국 사회에 큰 트라우마를 남겼다. 전쟁 이후 많은 한국인들은 극심한 고통과 슬픔을 겪었지만 재건을 위해 개인적인 감정을 억제하고 국가 발전을 위해 헌신해야 했다. 전쟁 후 사회에서는 개인적인 감정보다 집단의 이익이 중요시 되었고 이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희생하며 감정을 억누르는 문화로 이어졌다. 이러한 감정 억제는 여전히 중요한 덕목으로 남아 있으며 특히 희생과 인내라는 가치와 연결된다.  

 

반면 서양은 프랑스 혁명, 미국의 독립전쟁은 감정을 폭발적으로 드러낸 사건이었다. 불평등, 억압에 대한 분노는 혁명의 불씨가 되었고 사람들이 공개적으로 감정을 표현하면서 긍정적인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여겨진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