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방송 리뷰/선녀들' 카테고리의 글 목록 (15 Page)
본문 바로가기

TV 방송 리뷰/선녀들81

헤이그 특사 이야기 (이준, 이상설, 이위종) 1905년 11월 을사오적의 주도로 을사늑약이 체결되니 고종은 일본의 불법 점령에 대한 부당함을 알릴 수 있는 방법으로 헤이그로 특사를 파견하게 된다. 이 헤이그 특사 파견의 정보를 준 것이 러시아의 황제 니콜라이 2세였다. 고종은 어떻게 헤이그 특사를 파견하게 되었나? 조선의 황제 고종과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는 긴밀한 관계였다. 니콜라이 2세 때 러일 전쟁이 벌어졌고 전쟁에서 패한 러시아였다. 러시아의 힘을 빌려 일본으로부터 벗어나려던 고종은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일본은 러시아와 조선의 공공의 적이었고 여러 번 편지를 주고 받기도 한 특별한 관계였다. 사실상 둘 다 마지막 황제였다. 동병상련? 1905년 8월 22일 을사늑약(1905년 11월) 3개월 전에 고종은 니콜라이 2세에게 친서.. 2021. 3. 12.
미켈란젤로 피에타, 다비드상 감상 포인트는? 조각상 미켈란젤로는 외고집스러운 기질의 예술가였다. 미켈란젤로의 주 분야는 조각으로 그의 대표작 로 '자비를 베푸소서'라는 뜻이고 성모 마리아가 죽은 예수를 안고 있는 모습을 조각한 것으로 대리석을 깎은 것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역동적인 표현과 완벽한 디테일이 특징이다. 그러나 는 처음에 논란이 많은 작품이었다. 마리아 50세에 가까운 엄마가 예수 30대 아들을 안고 있는데 예수가 너무 연약하게 표현되었고 게다가 정면에 위치한 예수보다 부각되는 마리아로 인해 사람들은 를 쉽게 이해하지 못했다. 그러나 미켈란젤로의 천재성이 드러나는 부분은 인간의 관점에선 그럴 수 있지만 신의 관점에서는 다르다고 인식했다. 신의 관점에서 내려 봤을 때 조각상의 주인공은 예수가 된다. 이 작품은 미켈란젤로가 불과 25세에 만든.. 2021. 3. 6.
유대인 수용소 작센 하우젠 [선녀들 7회 후반 리뷰] 2차 세계대전 때 히틀러는 유대인 대량학살을 위해 독일과 점령지 전역에 수용소를 지었다. 그리하여 독일에 거주하던 90%의 유대인이 학살당했고 유대인 최대 거주지였던 폴란드에는 아우슈비츠를 만들어 대량 학살함으로 폴란드는 유대인 최대 학살지가 되었다. 작센 하우젠 수용소 위치 작센 하우젠 수용소는 독일 베를린에 위치하고 있는 수용소이다. 처음에는 히틀러의 반대 세력을 가두기 위해 세워졌으나 이후에는 유대인, 동성애자, 장애인 등을 강제 수용하는 곳이 된다. 20만 명 이상이 수용되어 강제 노동과 생체실험, 가스실 등이 모두 있는 수용소이다. 역사학자들은 아우슈비츠보다 더 가혹하고 잔인했던 수용소라고 말한다. 유대인 수용소는 두가지 형태로 존재했는데 징용 수용소와 폴란드의 아우슈.. 2021. 3. 4.
시스티나 성당의 미켈란젤로 천지창조 순서와 최후의 심판 어떤 내용? 로마의 바티칸 시국에 가면 관광객들이 꼭 방문하는 곳 중의 하나가 바티칸 박물관이다. 박물관 자체도 볼거리가 많지만 바티칸 박물관은 시스티나 성당과 연결이 되었다. 시스티나 예배당 천장을 가득 채운 미켈란젤로의 세계 최대 천장화가 있는 곳으로 신에 대한 존경심을 담아 성경에 나온 일화들을 천장 벽화로 표현한 것이 시스티나 성당의 천장화이다. 천지창조 그림의 탄생 배경 평소 자신을 조각가로 여긴 미켈란젤로였고 그림을 한 번도 그려 본 적이 없는 미켈란젤로였는데 성당에 그림을 그린 이유는 1508년 시스티나 천장에 금이 가기 시작하자 보수 공사를 위해 교황은 건축가 브라만테에게 천장 보수공사를 의뢰한다. 그러자 미켈란젤로의 명성을 시기하여 조각이 아닌 그림을 그리도록 추천한 인물이 바로 브라만테였다. 미켈란.. 2021.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