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조약이 무효인이유1 을사늑약(=을사조약) 뜻, 을사늑약이 무효인 이유 일본은 임진왜란(1592년) 때부터 한반도를 지속적인 침략 기회를 엿보고 있었고 1875년 운오효 사건을 빌미로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였고 1905년 마침내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겠다는 을사늑약(1905년 11월 17일)을 강제로 맺게 된다. 덕수궁 중명전 일제에 의해 훼손되기 전에는 덕수궁안에 있었던 중명전은 1919년 고종황제 승하 이후 덕수궁은 1/3로 축소됐고 중명전도 덕수궁 밖으로 나와 이곳에 위치하게 됐다. 중명전 안에는 대한제국의 역사와 덕수궁의 역사가 잘 전시되어 있다. ◈ 을사조약을 을사늑약으로 부르는 이유 '늑'은 소, 말의 머리에 씌우던 굴레라는 의미로 늑약의 뜻이 '강제로 맺은 조약'을 뜻하기 때문이다. 을사늑약(=을사조약)은 강제로 맺어진 조약으로 국제법상 무효인 조약이다... 2021. 3.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