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의 철도, 경인선( 철도의 날 유래: 9월 18일로 변경된 이유 )
본문 바로가기
Goodreads (정치문화역사)

한국 최초의 철도, 경인선( 철도의 날 유래: 9월 18일로 변경된 이유 )

by 365 ^^ 2025. 3. 8.
반응형

🚉 "서울에서 인천까지 1시간이면 충분해!"
하지만 100년 전에는 하루가 걸렸다는 사실, 알고 있었나요? 🤔

1899년 9월 18일, 한국 최초의 철도 경인선(京仁線) 이 개통되면서 한국의 철도 시대가 시작되었어요!
그런데 경인선이 처음부터 일본이 건설한 철도였을까요? 아니면 우리나라에서 직접 만든 철도였을까요?
또한, 일제가 철도기념일(1937년)을 왜 경부선 개통일(1905년 6월 28일)로 지정했는지까지 함께 알아볼게요! 

 

경인선(京仁線)은 한국 최초의 철도로,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1899년 개통되었으며, 한국 근대화의 상징적인 교통수단이었다. 개항 이후 인천항이 국제 무역항으로 성장하면서, 빠른 물류 수송과 여객 이동을 위해 철도 건설이 추진되었다.

 

인천역 : 경인선의 종착역이었다. 1899년 운행 시작

 

📌 한국 최초의 철도, 경인선 – 서울과 인천을 잇다

🔹 경인선이 생긴 이유 – 왜 필요했을까?

  • 1883년 인천항 개항 이후, 인천은 국제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어요.
  • 하지만 서울~인천 이동이 너무 불편했어요. (말이나 가마로 10시간 이상⏳)
  • 빠른 교통수단이 필요해지면서 철도 건설이 추진되었어요!

📌 경인선 건설 과정 – 미국에서 일본으로 넘어간 철도 🚆

1️⃣ 1896년 – 미국이 최초로 경인철도 부설권 획득

  • 대한제국 정부는 미국인 제임스 모스(James R. Morse) 에게 경인철도 부설권을 줬어요.
  • 하지만 미국 자본 부족으로 공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어요.

2️⃣ 1897년 – 일본이 경인철도 부설권을 인수

  • 일본이 미국으로부터 부설권을 사들여 철도 건설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어요.
  • 이때부터 경인선은 사실상 일본이 건설한 철도가 되었어요.

3️⃣ 1899년 9월 18일 – 경인선 개통 🚆

  • 노량진 ~ 제물포(현 인천역) 33.2km 개통
  • 소요 시간: 하루 걸리던 거리 → 기차 타면 1시간!
  • 이후 1900년 7월 8일, 서울(서대문)까지 연장

4️⃣ 1904년 – 용산역 개통과 철도 중심지 변화

  • 서울 철도의 중심지가 서대문 → 용산 → 경성(현 서울역) 으로 바뀜

💡 즉, 경인선 개통 = 한국 철도의 시작!


📌 경부선 개통일이 철도기념일이 된 이유 🚔

📢 경인선보다 경부선 개통(1905년 6월 28일)이 일본 입장에서 더 중요했기 때문!

1️⃣ 경인선 – 조선에서 가장 먼저 생긴 철도지만, 일본 입장에서 '지역 철도' 🚂

  • 경인선은 서울과 인천(항구) 을 연결하는 짧은 노선(33.2km)
  • 목적: 서울과 개항장(인천항) 연결 → 무역, 군사 수송
  • 중요도: 한반도 전체를 아우르는 철도는 아님

📌 즉, 일본에게 경인선은 조선 철도의 '출발점' 정도의 의미일 뿐, '전략적 핵심'은 아니었음!

2️⃣ 경부선 – 한반도 전체를 연결하는 '본격적인 식민지 지배 철도' 🚆

  • 서울 ~ 부산 444km 구간 개통 (1905년)
  • 목적: 조선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일본 본토와 직접 연결
  • 중요도: 경부선이 개통되면서 조선 철도망이 일본의 완전한 식민지 수탈 도구가 됨

📌 즉, 경부선이야말로 '조선을 완전히 지배하기 위한 철도'였기 때문에, 일본은 이를 기념하고 싶었음!

3️⃣ 철도기념일(1937년), 왜 하필 경부선 개통일을 정했을까?

  • 일본은 조선 철도를 '근대화의 증거'로 포장하며, 조선을 발전시켰다고 선전
  • "조선에 철도를 깔아준 것은 일본이다"라는 논리로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려 함

📌 즉, 철도기념일을 경부선 개통일로 지정하며, 일본이 조선을 근대화시켰다는 허울 좋은 명분을 만들고 싶었음!


🚆 해방 후 철도의 날(9월 18일)로 변경!

👉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는 일본이 정한 철도기념일(6월 28일)을 폐지하고, 한국 철도의 출발점인 경인선 개통일(9월 18일)을 기념일로 변경!

📌 즉, 대한민국 정부는 일본이 남긴 식민 잔재를 지우고, '진짜 한국 철도 역사'를 기념하기 위해 철도의 날을 새롭게 정한 것!


🔥 결론 – 일본이 철도기념일을 경부선 개통일로 정한 이유는?

경부선은 조선 철도망의 핵심이자, 일본이 한반도를 완전히 장악하는 상징적인 철도였기 때문!
일본은 철도를 식민지 근대화의 증거로 내세우며 '조선을 발전시켰다'는 논리를 만들기 위해 경부선 개통일을 기념일로 지정!
해방 후 대한민국 정부는 이를 폐지하고, 한국 철도의 진정한 시작인 경인선 개통일(9월 18일)을 '철도의 날'로 변경!

 

📌 즉, 일본은 철도를 이용해 조선을 지배했지만, 우리는 철도를 통해 독립 후 한국의 근대화를 이뤄냈다는 것이 더 중요한 포인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