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조세 제도의 폐단
조선 시대 병역 의무자가 군역 대신 내는 베(천)로 납부하는 군포가 있는데 군포를 걷기 위해서 군적에 이름을 올렸는데 16~60세까지의 성인 남자만 징수, 아이,노인,여자는 면제되었다.
4살 짜리 아들과 아버지 30살, 할아버지 70살 가족이 살고 있는 집에 기준대로라면 납부해야 하는 군포는 1필인데 4살짜리 아이를 군적에 올리는 이정(오늘날 이장)이었다. 이것을 황구첨정이라고 한다.
▷황구첨정
이런 어린 아이들을 첨정(군정에 첨가)한다는 뜻으로 황구첨정이 그 당시에는 제도화되어 있었다.
▷강년채
아이에게도 성인 남자에게도 군포를 징수하고 기준을 넘은 노인에게도 부과하던 강년채
▷백골징포
죽은 사람에 세금을 부과하던 백골 징포(백골에 세금을 부과한다)
이렇게 죽어도 빠져나갈 수 없었던 것이 조선시대 조세제도였다.
조선후기 백성들의
참혹상에 대한 시
애절양
백성에게 아이, 노인에게도 군포를 물리다 못해 노인이 죽어도 걷어가던 군포였고 돈이 없다고 하니 이정(오늘날의 이장)은 그 집의 소를 가져가 버리고 이에 둘째 아이들 낳으면 또 걷어갈 것이란 두려움과 억울함에 자해까지 하게 된 농민은 둘째를 가지지 않기 위해 스스로 자신의 양(성기)를 절단해버리는데 그것을 본 아내는 충격을 받고 남편의 양을 손에 쥐고 정신이 나간채로 관가로 뛰어간다. 그리고는 남편의 양을 내밀며 소를 다시 되돌려 달라고 애절하게 하소연 하는 모습을 보고 눈물 흘리던 정약용이 지은 시가 애절양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