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파키스탄, 카슈미르 분쟁의 뿌리 : 핵전쟁 위기까지 간 배경
본문 바로가기
Goodreads (정치문화역사)

인도·파키스탄, 카슈미르 분쟁의 뿌리 : 핵전쟁 위기까지 간 배경

by 365 ^^ 2025. 5. 12.
반응형

 

카슈미르 분쟁은 1947년 영국의 식민 통치가 끝나며 인도와 파키스탄이 분리 독립한 데서 비롯되었다. 당시 카슈미르는 자치 왕국이었고, 인도 또는 파키스탄 중 어느 국가에 속할지 선택해야 했다.

 

 

 

🔸 카슈미르 분쟁의 역사적 뿌리: 영국 식민지의 유산

1947년 8월 15일, 인도와 파키스탄은 영국의 식민 통치에서 독립했다. 이는 단순한 독립이 아니라, 종교를 기준으로 국가가 나뉜 **‘분할 독립(Partition)’**이었다.

  • 인도는 힌두교 중심 국가
  • 파키스탄은 이슬람교 중심 국가로 출범

문제는 **카슈미르(Kashmir)**였다. 당시 카슈미르는 영국령 인도에 속한 약 560여 개의 자치 왕국 중 하나였고, 종교적, 지리적으로 파키스탄과 가까웠다. 인구의 70% 이상이 **이슬람교도(Muslim)**였지만 통치자 마하라자 하리 싱은 힌두교도였다.

1947년 10월, 파키스탄 민병대가 카슈미르에 침입했고, 하리 싱은 인도에 **병합 요청(Instrument of Accession)**을 하며 인도는 군대를 파병했다. 이로 인해 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이 발발했다.

📌 1949년 유엔 중재로 휴전이 체결되고 **LoC(Line of Control, 실질 통제선)**이 설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카슈미르는 이렇게 나뉘었다:

  • 인도령 잠무·카슈미르: 약 63%
  • 파키스탄령 아자드 카슈미르 및 길기트-발티스탄: 약 37%
  • 이후 중국은 동부 라다크 일부를 점령해 악사이친(Aksai Chin) 지역을 차지했다

 

 

🔸 2019년~2025년: 현대 분쟁의 심화

📍 2019년 8월 5일, 인도 정부는 헌법 제370조를 폐지했다.
→ 이 조항은 잠무·카슈미르의 특별 자치권을 보장했던 헌법 조항이다.
→ 인도 중앙정부 직할령으로 변경되자 카슈미르 이슬람 주민 반발

📍 이후 무장 투쟁과 인도군의 강경 진압이 이어졌다. 파키스탄은 “이슬람 민족 탄압”이라며 외교적·군사적 반발에 나섰다.

 

🔸 2025년: 다시 불붙은 무력 충돌

2025년 4월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바이사란 계곡에서 총격 테러가 발생해 민간인 26명이 사망했다. 인도는 파키스탄 기반 이슬람 무장단체의 소행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인도는 **5월 7일 '신두르 작전(Operation Sindhur)'**을 개시해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내 9곳의 무장단체 거점을 정밀 타격했다. 파키스탄은 이에 보복 공습으로 대응했고, LoC(실질통제선) 일대에서 포격전과 미사일 공격이 오가며 사망자가 최소 36명에 달했다. 이는 2003년 휴전 합의 이후 최악의 무력 충돌로 기록되었다.

 

 

 

 

🔸 미국의 개입과 휴전 합의

5월 10일, 양국은 즉각적 휴전에 전격 합의했다. 파키스탄 외교장관 이샤크 다르인도 외무장관 S. 자이샨카르는 각각 **SNS(엑스)**를 통해 합의 내용을 발표했다.

이 합의에는 미국의 중재가 결정적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 파키스탄 양국과 직접 소통해 긴장 완화를 유도했고,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도 중재 과정에서 조정 역할을 했다.

 

 

🔸 종교·정치·핵무기가 얽힌 분쟁

카슈미르는 단순한 영토 분쟁이 아니라, 인도와 파키스탄의 종교 정체성정치적 대립, 그리고 핵무기 보유라는 세계적 긴장 요소가 뒤섞인 복합 갈등 지역이다.

인도는 힌두 민족주의를 강화하는 모디 총리의 정책으로 인해 2019년 8월 5일 헌법 370조를 폐지하고 카슈미르의 자치권을 박탈했다. 이는 카슈미르 이슬람 인구의 반발을 초래했고, 무장 투쟁의 빌미가 되었다.

인도와 파키스탄 모두 핵무기를 보유한 상태이며, 이는 분쟁이 전면전이나 **핵전쟁(Nuclear War)**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진다. 2025년 현재까지도 7만 명 이상의 사상자를 기록한 이 갈등은, 단순한 국경 문제가 아닌 지구촌의 안보 위협이다.

 

 

 

카슈미르 분쟁 총정리: 1947년부터 2025년까지의 모든 전쟁과 원인

🔍 "왜 인도와 파키스탄은 지금도 싸우는 걸까?"비슷한 언어, 음식, 민족까지 닮은 두 나라가 수십 년간 분쟁 중이라는 사실은 의외일 수 있다. 특히 같은 뿌리를 가진 국가들이 1947년 독립 이후

myvoice.wissue.net

 

🔸 분쟁의 본질: 종교, 정체성, 자존심

인도의 힌두 민족주의(Hindutva):

  • 모디 정부는 강력한 중앙통치와 '힌두 국가' 정체성을 강화 중
  • 카슈미르 내 이슬람교도들과 갈등 심화

파키스탄의 이슬람 정체성:

  • 카슈미르를 ‘억압받는 무슬림 형제’로 인식
  • 국내 정치 위기 시마다 대외 갈등을 정치적 카드로 활용

양국 모두 자존심 문제로 양보 불가

  • 카슈미르는 ‘국가 정체성’의 상징
  • 단순한 땅 싸움이 아니라 민족적 신념 충돌

 

🔸 문화 이야기: 국경 너머의 인기

인도 배우 **샤루크 칸(Shah Rukh Khan)**은 파키스탄에서도 인기가 많다. 하지만 인도 영화는 안보 위협이라는 이유로 공식 상영이 금지되기도 한다. 이에 많은 파키스탄 팬들은 VPN을 통해 몰래 인도 영화를 본다. 총탄이 오가는 상황 속에서도 대중문화는 국경을 넘고 있다.

 

👇팔레스타인의 또 다른 분쟁 지역 

 

 

팔레스타인 서안 지구 속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무엇이 문제인가?

▼ 배경 지식 알기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수도가 아니다!? (예루살렘 성지 3곳, 분쟁이유)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국가가 없기 때문에 '팔레스타인'이라고 불리는 지역(민족X)에 팔레스타인 인

jangane.tistory.com

 

 
반응형

댓글